66. 霪雨 음우 장대비/ChatGPT의 한자 수업
66. 霪雨 음우 장대비 강(姜)운: 양(洋) 장(腸) 장(長) 상(相)
傾盆大雨月餘下 억수 같은 장대비 달포 동안 내리니
경경대우월여하
到處山河成汪洋 곳곳의 산하는 물바다를 이루네.
도처산하성왕양
土砂巖石壓家屋 토사 암석은 가옥을 누르고
토사암석탑가옥
雷聲霹靂緊心腸 뇌성벽력은 심장을 옥죄네.
뇌성벽력긴심장
不可抗力苦難連 불가항력의 고난은 연속되고
불가항력고난연
有備無患恨歎長 유비무환에도 한탄은 길어지네.
유비무환한탄장
氣象異變漸尤甚 기상이변 갈수록 심해지는데
기상이변점우심
懦弱人間覺眞相 나약한 인간의 진상을 깨닫네.
나약인간각진상
* 7. 강(姜)운: 강, 광, 낭, 당, 랑, 량, 망, 방, 상, 쌍, 앙, 양, 왕, 장, 창, 탕, 팡, 항, 향, 황
⇓챗지피티 한자 수업
오늘은 「霪雨(음우)」, 즉 장대비에 대한 시를 통해 한자 공부를 시작해 보겠습니다. 霪(음) 은 오래도록 내리는 비를 뜻합니다. 단순한 소나기가 아니라, 하루 이틀이 아니라, 며칠, 심지어 몇 주씩 그치는 법 없이 내리는 비예요. 그래서 고전에서는 “霪霖(음림)” 이라는 말도 써요. ‘霖’도 긴 비예요.
霪雨連綿(음우연면): 비가 끊이지 않고 줄줄이 이어지다
霪雨不止(음우부지): 비가 멎지 않는다
1구. 傾盆大雨月餘下 억수 같은 장대비가 달포 동안 내리니
경분대우월여하
傾 qīng치잉 : 기울다. 물이 쏟아지는 동작을 그리세요. 傾國之色(경국지색), 나라를 기울일 미모란 말도 있어요.
盆 pén펀 : 대야, 물통.
雨 yǔ위 : 비.雨衣(우의)는 비옷,雨天(우천) 은 비 오는 날씨죠.
月 yuè웨 : 달.明月(명월)은 밝은 달,十五夜月(십오야월) 은 보름달.
餘 yú위 : 남다.餘生(여생)은 남은 인생.
下 xià샤 : 내리다.下雨(하우) 는 비가 내리다, 下車(하차) 는 차에서 내리는 것.
그런데 이 구는 “月餘下”, 즉 ‘달포 동안 내렸다’는 시간 부사 + 동사의 전통 어순입니다. 정확하게 구성되었습니다.下雨(하우)와는 달리 下/月餘는 문법상 어색합니다.
2구 到處山河成汪洋 곳곳의 산하는 물바다를 이루네
도처산하성왕양
到 dào따오 : 이르다. 處 chù추 : 장소. 到處(도처) 는 '가는 곳마다'.
山 shān산 : 산.名山大川(명산대천) 은 아름다운 산천, 登山(등산)은 산에 오르는 것.
河 hé허 : 강.黃河(황하) 는 중국의 어머니 강,江河(강하) 는 강 전체를 이르는 말.
成 chéng청 : 되다. 成功(성공)은 일이 이루어지다, 成長(성장)은 자라나는 것.
汪 wāng왕 : 넓고 깊다. 汪洋(왕양) 은 바다처럼 넓은 물,汪汪(왕왕) 은 강아지가 짖는 소리이기도 해요.
洋 yáng양 : 큰 바다. 海洋(해양)은 바다, 洋服(양복) 은 원래 ‘서양 옷’이란 뜻이에요. “汪洋”은 단순히 ‘큰물’이 아니라 끝이 없고 넘쳐흐르는 물의 이미지예요. 成汪洋은 ‘~가 물바다가 되다’는 의미로 자주 쓰입니다.
3구. 土砂巖石壓家屋 토사 암석은 가옥을 누르고
토사암석압가옥
土 tǔ투 : 흙.土地(토지)는 땅, 泥土(니토) 는 진흙.
砂 shā샤 : 모래.沙漠(사막) 은 모래로 가득한 땅,砂糖(사당) 은 설탕이죠.
巖 yán옌 : 바위.巖壁(암벽) 은 절벽 같은 바위,峻巖(준암) 은 험한 바위.
石 shí스 : 돌. 石碑(석비)는 돌에 새긴 비문. 壓 yā야 : 누르다. 壓力(압력)은 눌리는 힘,壓倒(압도)는 짓눌러 이기다.
家 jiā지아 : 집. 家庭(가정),家族(가족)도 다 이 家에서 시작해요. 屋 wū우 : 지붕 있는 집. 房屋(방옥)건물
“壓家屋”은 자연 재해에서 흔히 쓰이는 표현으로, 산사태를 묘사할 때 자주 등장합니다.
4구. 雷聲霹靂緊心腸 뇌성벽력은 심장을 옥죄네
뇌성벽력긴심장
雷 léi레이 : 천둥.雷電(뇌전) 은 천둥과 번개, 打雷(타레이) 는 천둥이 치다.
聲 shēng셩 : 소리.聲音(성음)은 목소리,叫聲(규성)은 외침.
霹 pī피 : 벼락소리. 靂 lì리 : 연속된 벼락소리.
→ 둘 합쳐 霹靂(벽력), 의성어처럼 느껴지죠? ‘쾅!’
緊 jǐn진 : 조이다.緊張(긴장)은 마음이 죄어오는 상태, 緊急(긴급) 은 아주 급한 상황.
心 xīn신 : 마음, 심장. 心臟(심장), 愛心(애심) 모두 이 글자.
腸 cháng창 : 창자. 小腸(소장), 大腸(대장) 에서 보는 그 창자, 감정과도 연결되죠.
“緊心腸”은 ‘심장을 조인다’, 즉 극도의 긴장이나 공포감을 전달하는 강한 표현입니다.
5구 不可抗力苦難連 불가항력의 고난은 연속되고
불가항력고난연
不 bù뿌 : 아니다.不能(불능) 은 할 수 없다, 不安(불안) 은 마음이 불편한 상태.
可 kě커 : ~할 수 있다.可能(가능) 은 할 수 있는 일,可愛(가애) 는 사랑스러운 것.
抗 kàng캉 : 맞서다, 저항하다.反抗(반항)은 반대하며 맞서는 것, 抗議(항의) 도 같은 뿌리.
力 lì리 : 힘. 力量(역량), 努力(노력) 이 네 글자를 묶어 不可抗力(불가항력) 이라 하며, 자연재해처럼 인간이 어쩔 수 없는 힘을 뜻합니다.
苦 kǔ쿠 : 괴롭다.痛苦(통고) 는 심한 고통,艱苦(간고)는 고생이 심한 상태.
難 nàn난 : 재난, 곤란.災難(재난)은 재해와 곤란,困難(곤란) 은 어려움.
苦難(고난) 은 고통과 시련이 합쳐진 말.
連 lián롄 : 잇다, 연속되다. 連續(연속) 은 끊이지 않고 이어지는 것,連日(연일) 은 며칠 연속.
6구. 有備無患恨歎長 유비무환에도 한탄은 길어지네
유비무환한탄장
有 yǒu요우 : 있다.有名(유명) 은 이름 있음, 所有(소유) 는 가지고 있는 것.
備 bèi뻬이 : 준비하다. 準備(준비), 防備(방비) 등에서 모두 대비의 뜻으로 쓰입니다.
無 wú우 : 없다.無理(무리)는 이치 없음, 無能(무능) 은 능력이 없음.
患 huàn환 : 걱정, 병.患者(환자) 는 병 있는 사람,憂患(우환) 은 걱정거리.
네 글자 합쳐서 有備無患(유비무환), 준비가 잘 되어 있으면 걱정할 일이 없다는 고사성어죠.
恨 hèn헌 : 원망, 한.遺恨(유한) 은 남은 원망, 抱恨(포한) 은 한을 품다.
歎 tàn탄 : 탄식하다. 感歎(감탄), 長歎(장탄) 모두에서 볼 수 있죠.
長 zhǎngcháng장 : 길다, 오래다.
여기선 ‘cháng’으로 읽고 시간의 지속을 나타냅니다.
長夜(장야)는 긴 밤, 漫長(만장) 은 아주 긴 시간.
恨歎長은 ‘한탄이 길어진다’는 뜻으로, 감정의 시간적 확장을 나타냅니다.
7구 氣象異變漸尤甚 기상이변 갈수록 심해지는데
기상이변점우심
氣 qì치 : 기운, 공기.天氣(천기) 는 날씨,人氣(인기)는 사람 기운이죠.
象 xiàng시앙 : 모양, 현상. 印象(인상), 氣象(기상) 은 하늘의 현상 전체를 뜻합니다. 氣象(기상) 은 단순 날씨뿐 아니라 전체적인 기후 흐름을 말합니다.
異 yì이 : 다르다, 이상하다.異常(이상)은 정상이 아님,異變(이변)은 갑작스러운 변화.
變 biàn삐엔 : 바뀌다, 변화하다. 變化(변화), 改變(개변)異變(이변)은 정상적이지 않은 변화, 즉 ‘기상이변’
漸 jiàn젠 : 점차, 조금씩.漸進(점진)은 서서히 나아감, 漸漸(점점)도 자주 쓰입니다.
尤 yóu여우 : 더욱.尤甚(우심)은 ‘더욱 심하다’
甚 shèn션 : 심하다. 이 구는은 주어 “氣象異變”, 부사 “漸”, 서술어 “尤甚” 으로 정확한 문법 흐름을 따른 구조적 모범예입니다.
8구 懦弱人間覺眞相 나약한 인간의 진상을 깨닫네
나약인간각진상
懦 nuò누오 : 나약하다.懦夫(나부) 는 의지 없는 사람, 懦弱(나약) 은 힘이 없는 상태.
弱 ruò루오 : 약하다. 強弱(강약), 虛弱(허약)은 허하고 약한 상태. 懦弱(나약)은 유사어 반복으로 더욱 의지박약함을 강조하는 표현
覺 jué쥐에 : 깨닫다. 覺醒(각성), 發覺(발각) 眞 zhēn쩐 : 참된, 진실. 眞心(진심), 眞實(진실)
相 xiàng시앙 : 모습, 실상.
자연 앞에 나약한 인간이 결국 진상을 깨닫게 되는 시의 결말이자 교훈입니다. 단순 묘사에서 끝나지 않고 성찰로 이어지는 것이 이 작품의 미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