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신운

314. 黃山毛峰 황산모봉 ChatGPT와 대화로 다듬다

대한신운 2025. 10. 17. 05:27

314. 黃山毛峰 황산모봉 작자미상

黃山毛峰有盛名 황산모봉은 성대한 명성을 지녔으니

황산모봉유성명

一芽一葉雀舌形 최고의 싹 최고의 잎은 참새 혀 모양

일아일엽작설형

白毫顯露魚葉嫩 흰 털 드러난 물고기 모습의 잎은 부드럽고

백호현로어엽눈

金黃芽片顯分明 황금빛 싹 조각은 분명하게 드러나네.

금황아편현분명

湯色清澈茶煙裊 끓인 색은 맑고 차 증기는 하늘하늘

탕색청철차연묘

鮮醇甘美逸神情 신선하고 순한 감미로움은 정신을 잃을 정도라네.

선순감미일신정

嘉木從來生佳地 좋은 나무는 본래 좋은 땅에서 나는 법

가목종래생가기

徽州春意杯中呈 휘주의 봄 뜻을 잔 속에 담아 드리네.

휘주춘의배중증

* 神情: 정신으로 써야 올바르지만 이 압운이어서 이처럼 안배된 것이다.

* 이 핵심어이다. 상대방과 대화를 나누는 상황임을 짐작할 수 있다.

황산모봉(黃山毛峰)은 중국 10대 명차 중 하나로, 녹차에 속한다. 안후이성(安徽省) 황산(黃山, 휘주[徽州]) 일대에서 생산되기 때문에 휘차(徽茶)’라고도 불린다. 매년 청명(淸明)과 곡우(穀雨) 시절에 황산종(黃山種)’황산대엽종(黃山大葉種)’ 등의 양호한 품종 차나무에서 갓 피어난 살진 어린싹을 따서 손으로 덖는다. 이 차는 외형이 약간 휘어 있으며, 참새 혀와 비슷한 모양으로, 녹색 속에 약간의 황색을 띠고, 은빛 솜털이 뚜렷하며, 금빛의 어엽(魚葉, 흔히 황금편[黃金片]’이라 부름)을 지닌 것이 특징이다.

찻잔에 우려내면 김이 뚜껑처럼 맺히고, 차탕은 맑고 푸른빛에 약간 노란 기운이 감돈다. 잎 바닥은 황록색으로 생기가 있으며, 맛은 부드럽고 달콤하며, 난초 같은 향이 나고, 여운이 길게 남는다. 갓 만든 찻잎에 흰 솜털이 덮여 있고, 싹 끝이 뾰족하며, 신선한 잎이 황산의 높은 봉우리에서 채취되었기 때문에 황산모봉(黃山毛峰)’이라는 이름이 붙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