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5. 廬山雲霧 여산운무 작자 미상
廬山雲霧茶味濃 여산의 운무차 맛은 진하고
여산운무차미농
幽谷深溪生此中 그윽한 골짜기 깊은 계곡에서 나네.
유곡심계생차중
雨前採摘嫩芽綠 곡우 전에 푸르고 연한 잎을 따서
우전채적눈아록
火上焙炒香氣融 불 위에서 덖고 볶아 향기가 융화되네.
화상배초향기융
若用龍泉烹此茗 만약 용천수로 이 차를 달인다면
약용용천팽차명
更覺清甘透心胸 더욱 맑고 달아 가슴 깊이 스미네.
갱각청감투심흉
自古名山出名茶 예로부터 명산에서 명차가 나는 법
자고명산출명차
此語原來非虛空 이 말이 참으로 헛말이 아니라네.
차어원래비허공
* 여산운무차(廬山雲霧茶)는 한족의 전통 명차로, 중국 명차 시리즈 중 하나이며 녹차에 속한다. 처음에는 야생차였으나, 동림사(東林寺)의 명승 혜원(慧遠)이 야생차를 가생차(집에서 기른 차)로 개량하였다. 한(漢)나라 때 시작되었으며, 송(宋)나라 시대에는 공차(貢茶, 황실에 바치는 차)로 지정되었다. ‘여산운무차’라는 이름은 중국 장시성(江西省) 구이시(九江市) 여산(廬山)에서 생산되는 데서 유래한다. 이 차는 차 눈이 살지고 초록빛에 윤기가 돌며, 잎에 잔털이 많고 조밀하며 고운 모양을 지닌다. 향기는 신선하고 상쾌하며 오래 지속되고, 맛은 진하고 달며, 탕 색은 맑고 밝다. 우린 뒤의 잎은 부드럽고 고르게 정제된 초록빛을 띤다.
일반적으로 노산운무차는 “육절(六絕)”로 표현된다.
조삭(條索) 조장(粗壯): 찻잎이 굵고 단단하며
청취다모(青翠多毫): 푸른빛이 선명하고 잔털이 많으며
탕색명량(湯色明亮): 차탕 색이 맑고 밝으며
엽균유제(葉嫩匀齊): 잎이 여리고 고르게 정돈되어 있고
향림지구(香凛持久): 향기가 맑고 오래 지속되며
순후미감(醇厚味甘): 맛이 진하고 달콤하다는 뜻이다.
여산운무차의 독특한 풍미는 노산의 서늘하고 안개가 잦은 기후, 짧은 일조 시간 등 자연조건의 영향으로 형성된다. 이에 찻잎이 두껍고 잔털이 많으며, 맛이 순하고 달콤하면서 오래 우리기에도 맛이 잘 유지되는 특징을 지닌다.
'대한신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316-1. 鷓鴣天‧品銀針 자고천‧은침을 맛보다/ChatGPT와 대화로 다듬다 (0) | 2025.10.18 |
|---|---|
| 316. 銀針吟 은침을 읊은 시/ChatGPT와 대화로 다듬다 (2) | 2025.10.18 |
| 314. 黃山毛峰 황산모봉 ChatGPT와 대화로 다듬다 (0) | 2025.10.17 |
| 313. 秋雨遺憾 가을비 유감 2/ChatGPT와 대화로 짓다 (0) | 2025.10.16 |
| 312. 秋雨遺憾 가을비 유감 1/ChatGPT와 대화로 짓다 (0) | 2025.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