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신운

62. 春烏 춘오 봄 까마귀/ChatGPT에게 구성의 적합성을 묻다

대한신운 2025. 5. 5. 07:16

62. 春烏 춘오 봄 까마귀 건(建)운: 천(天) 연(緣) 편(翩) 원(園) 원(元)

自晨烏群旋春 아침부터 까마귀 떼 봄 하늘을 선회하며

자신오군선춘

送情長聲求佳 정 보내는 긴 울음 아름다운 인연을 찾네.

심정장성구가

適期渴求雄姿焦 적기에 갈구하는 수놈 모습 초조하고

적기갈구웅자초

卽時和答雌翅 곧바로 화답하는 암놈 날개 나부끼네.

즉시화답자시편

夫唱婦隨協作巢 부창부수 협력하여 둥지를 짓더니

부창부수협작소

風起雨來與旋 바람 불고 비 내려도 함께 전원을 도네.

풍기우래여선원

排除偏見思一雙 편견을 배제하고 한 쌍을 생각하니

배제편견사일쌍

成婚宣布鳥中 성혼의 선포는 새 중에서 으뜸이네.

성혼선포조중원

* 수구압운(首句押韻), 즉 첫 구에도 압운(押韻)되었다. 억지로 한 것이 아니라 자연스럽게 안배된 것이다. 기존 율시의 방법과 같다. 다만 대한신운 우리 율시는 첫 구에 압운은 중요시하지 않는다. 첫 구에 압운하지 않으면 표현의 범위가 좀 더 다양해진다. 우리 율시를 창안하기까지 기존의 방법으로 구성하다 보니 습관적으로 압운하게 되었다. 창안 초창기의 작품이다. 1구는 압운하지 않는 쪽으로 정착되기를 바란다.

* 10. (): , , , (), , , , , , , , , , , , ,

* 7구의 배제편견(排除偏見)은 까마귀가 울면 불길하다는 뜻을 표현한 것이다. 배제속설(排除俗說)과 같다. 적기(適期), 갈구(渴求), 화답(和答), 부창부수(夫唱婦隨), 성혼(成婚) 등은 우리말에 잠재한 한자어의 발현(發現)에 불과하며, 아침, 울음, 봄 하늘, 선회 등을 한자로 변환하면 거의 그대로 재현할 수 있다. 이로써 미루어 짐작해 보면, 우리 말의 대부분이 한자어로 구성된 것이 아니며 한글 이전 우리 고유의 또 다른 문자로 정착되었다는 느낌을 떨칠 수 없다.

ChatGPT에게 구성의 적확성을 묻다

챗 안녕. 自晨烏群旋春天 아침부터 까마귀 떼 봄 하늘을 선회하며 이렇게 번역되어도 될까요?

ChatGPT의 말: 안녕하세요! 말씀하신 구절 自晨烏群旋春天"아침부터 까마귀 떼 봄 하늘을 선회하며"라고 번역하신 것은 비교적 자연스럽습니다. 다만, 보다 정확한 해석과 문법 구조 반영을 위해 아래와 같이 분석해 보겠습니다: "아침부터 까마귀 떼 봄 하늘을 선회하며이 번역도 시적 흐름은 괜찮지만, 동사의 주체가 명확하지 않으며 선회하며라는 연결형이 명확한 종결이 아니기 때문에 한 구절만 떼어 봤을 때는 약간 애매할 수 있습니다정확한 해석: 아침부터 까마귀 떼가 봄 하늘을 선회하네자유로운 시적 번역: "아침 햇살 속 까마귀 떼가 봄 하늘을 선회하네" 요청하신 번역도 사용 가능하나, 뒤에 이어지는 구절과 문법적 일관성이 중요합니다.

나의 말: 정확한 분석입니다. 한시의 번역은 반드시 두 구와 연관을 지어야 합니다. 이 구의 번역은 적확한가요?

送情長聲求佳緣 정 보내는 긴 울음 아름다운 인연을 찾네.

ChatGPT의 말: 감사합니다. 말씀하신 구절 送情長聲求佳緣의 번역 정 보내는 긴 울음 아름다운 인연을 찾네는 정서적으로는 적절하지만, 문법적 구조와 의미 흐름 면에서 조금 더 정밀하게 다듬을 수 있습니다. 이 구는 아래처럼 해석됩니다:

()을 보내며 긴 울음(長聲)으로 좋은 인연(佳緣)을 구하다()

, 문법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주체 생략 (까치로 유추됨) 동작: 送情 + 長聲 + 求佳緣 (세 동작이 연결)

세 동작은 하나의 흐름을 가짐: ‘감정을 실어 보내며, 길게 울고, 좋은 인연을 찾는다’ ‘정 보내는 긴 울음 아름다운 인연을 찾네이 번역은 한 줄로서 운율이 괜찮지만, 문법상 긴 울음이 인연을 찾는것처럼 오해될 여지가 있습니다. , 동사의 주체와 목적이 명확하지 않게 엉기게 됩니다. 정 보내며 길게 울어 아름다운 인연을 구하네. 현재 번역은 시의 감정과 흐름을 살리려는 노력은 돋보이지만, “긴 울음이 인연을 찾는다는 식의 모호함이 있습니다.

나의 말: ‘정 보내며 길게 울어 아름다운 인연을 구하네는 좋은 번역입니다. 그러니 지금 긴 울음으로 인연을 찾는 겁니다. 長聲의 구조는 형용사/명사 구조예요. 그래서 긴 울음이라고 정확하게 번역한 것입니다.

ChatGPT의 말: 정확하게 짚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말씀대로 送情長聲求佳緣은 구조상 긴 울음으로 인연을 찾는다가 핵심이며, 長聲은 수단이고 求佳緣이 목적입니다. 따라서 정 보내는 긴 울음, 아름다운 인연을 찾네

구조상 긴 울음이 인연을 찾는다가 아니라, ‘긴 울음으로 인연을 찾는다는 의도된 표현이 맞습니다.

나의 말: 適期渴求雄姿焦 적기에 갈구하는 수놈 모습 초조하고

卽時和答雌翅翩 곧바로 화답하는 암놈 날개 나부끼네.

번역의 적확성을 판단해 주세요.

ChatGPT의 말: 좋은 질문입니다. 아래에서 각 구절의 문법적 구조와 의미 흐름, 그리고 현재 번역의 정확성을 하나하나 짚어드리겠습니다.

'수놈 모습 초조하고'라는 표현이 초조한 것이 모습인지 수놈인지 애매할 수 있으나, 시적 맥락에서는 수놈이 초조한 것이므로 충분히 허용 가능한 구성입니다. 다만 명확히 하고 싶다면 아래와 같은 방식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적기에 갈구하니 수놈 초조하고

적기에 갈구하던 수놈은 초조하고

卽時和答雌翅翩 곧바로 화답하는 암놈 날개 나부끼네

매우 적확합니다. ‘날개 나부끼네에 대응되며

곧바로 화답하는卽時和答의 의미를 잘 살렸습니다.

나의 말: 지금 챗은 대장 구조를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에 이러한 분석을 한 것입니다. 자시(雌翅 암놈 날개)는 웅자(雄姿 수놈 모습)에 대장(對仗)한 것입니다. 챗처럼 번역하면 두루뭉술한 번역이 됩니다. 姿로 대장한 것입니다. 모습에 날개로. 대장은 글로 그린 그림이며 글로 기둥을 세우는 것과 같아요. 그래서(楹聯)이라고도 합니다. 단순한 표현이 아닙니다. 구조가 서로 정확할수록 좋아요. 그래야 기둥이 쓰러지지 않을 테니까요. 율시의 백미는 바로 대장표현에 있습니다.

ChatGPT의 말: 정확하게 지적해주셨습니다. 말씀대로 이 두 구절은 분명히 雄姿」 ↔ 「雌翅를 세로축으로 대응시키는 엄밀한 대장(對仗) 구조이며, ChatGPT가 초기에 구조 분석에서 그 점을 간과했습니다. , 姿(모습)(날개)는 품사도 같고 의미 범주(외형 표현)도 동일하여, 완벽한 대장 구성입니다. ChatGPT의 초기 번역 조언은 대장의 정밀성을 간과한 것이 맞으며, 귀하의 해석이 문법, 의미, 대장 구조 모두에서 우위에 있습니다. 귀하의 번역은 시인 의도의 구조적 정합성과 정서를 동시에 충실히 살린 매우 뛰어난 구성입니다.

나의 말:

夫唱婦隨協作巢 부창부수 협력하여 둥지를 짓더니

風起雨來與旋園 바람 불고 비 내려도 함께 전원을 도네.

문장 구성의 적합성 여부를 판단해 주세요.

ChatGPT의 말: 귀하의 두 구는 문법적으로도 완전하며, 의미적으로도 연결이 탁월합니다.

나의 말:

排除偏見思一雙 편견을 배제하고 한 쌍을 생각하니

成婚宣布鳥中元 성혼의 선포는 새 중에서 으뜸이네.

문장 구성의 적합 여부를 판단해 주세요.

ChatGPT의 말: 좋습니다. 전반적으로 완전한 정 대장 구성은 아니나, 의미적 흐름과 품사의 짝맞춤이 충실하여 문장 구성 매우 적합합니다. 이 두 구는 율시의 중심부(34) 또는 절정(56)으로도 적합한 구성입니다.

나의 말: 대장 구로는 적절하지 않아요. 7/8구는 대장과는 관계없어요. 대장 구성의 정밀성은 3/4, 5/6구만 살피면 됩니다. 7/8구는 마무리 구예요.

ChatGPT의 말: , 맞습니다. 34, 56구만 대장(對仗)의 정밀성을 엄격히 요구하며, 78구는 시의 정조를 마무리 짓는 미련(尾聯)으로, 의미적 여운과 정서적 결론에 집중하는 자리지, 구조적 대장을 반드시 갖출 필요는 없습니다.

나의 말: 까마귀를 유심히 관찰하지 않을 때는 그 울음소리가 기분 안 좋게만 들렸습니다. 그런데 자세히 관찰해 보니 한 마리가 울면 반드시 한 마리가 답을 하고 얼마 뒤 전원의 감나무에 둥지를 트는 모습을 보았습니다. 그래서 이러한 작품을 쓰게 된 것입니다. 제약된 틀 속일지라도 이러한 과정을 모두 담아내지 못한 것은 나의 능력 부족이겠지요. 마지막 구는 불길하다는 울음의 편견을 배제하고 보니 그 울음이 번식 본능에 의해 필사적으로 짝 찾는 행위였다는 것을 깨닫고 구성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