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신운

322-2. 一七令 탑처럼 쌓는 시‧달/ChatGPT와 대화로 다듬다

대한신운 2025. 11. 3. 06:12

322-2 一七令·일칠령·달 이신(李紳)

                                     月 달

                                    光輝 빛나고도 빛나며

                                    皎 밝고도 맑네.

                                   耀乾坤 천지를 빛내면서

                                   靜空 광활함 속에 고요하네.

                                  圓滿中秋 원만한 중추의 달

                                  玩爭詩 시인과 철인은 다투어 완상하네.

                                 玉兔鏑難穿 화살촉은 옥토끼 같은 달을 뚫기 어렵고

                                 桂枝人共 사람들은 모두 달 궁전 계수 가지를 꺾고 싶어 하네.

                               萬象照乃無私 만상을 비추면서도 사사로움 없으니

                               瓊臺豈遮君 옥대의 문사들 어찌 그대()의 배알을 막으리!

                              抱琴對彈別鶴聲 달 대하며 거문고 안고 학의 음성(백거이)을 전별하니

                              不得知音聲不 간절한 지음 소리를 부득불 얻어야 한다니!

 

光輝  빛나고도 빛나며

광휘

皎潔  밝고도 맑네.

교결

耀乾坤  천지를 빛내면서

요건곤

靜空闊  광활함 속에 고요하네.

정공확

圓滿中秋  원만한 중추의 달

원만중추

玩爭詩哲  시인과 철인은 다투어 완상하네.

만쟁시철

玉兔鏑難穿  화살촉은 옥토끼 같은 달을 뚫기 어렵고

옥토적난천

桂枝人共折  사람들은 모두 달 궁전 계수 가지를 꺾고 싶어 하네.

계지인공절

萬象照乃無私  만상을 비추면서도 사사로움 없으니

만상조내무사

瓊臺豈遮君謁  옥대의 문사들 어찌 그대()의 배알을 막으리!

경대기차군알

抱琴對彈別鶴聲  달 대하며 거문고 안고 학의 음성(백거이)을 전별하니

포금대탄별학성

不得知音聲不切  간절한 지음 소리를 부득불 얻어야 한다니!

부득지음성불절

* 李紳(772846): 당대의 시인이자 관료. 백거이와 교유가 깊었다.

* 백거이(白居易)와 송별연에서 읊은 작품이다. 不得知音聲不切不得不切知音聲의 도치이다. 강한 긍정을 의미한다. 평소 학의 소리는 들을수록 좋지만, 송별 연의 자리에서는 어쩔 수 없이 들어야 한다. 즉 이별하기 싫다는 표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