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신운

322-3. 一七令 탑처럼 쌓는 시· 물/ChatGPT와 대화로 다듬다

대한신운 2025. 11. 4. 07:14

322-3. 一七令·물 유우석(劉禹錫)

                                                   水

                                                 至清 지극히 맑고

                                                 盡 다함 없이 아름답네.

                                               從一勺 한 국자로부터

                                               至千천 리에 이르네.

                                             利人利物 사람과 만물을 이롭게 하고

                                             時行時 때로는 흐르고 때로는 멈추네.

                                           道性淨皆然 도의 성품이 모두 물처럼 깨끗하고

                                           交情淡如 교우의 정도 이 물처럼 담담하네.

                                         君遊金谷堤上 그대는 금곡의 제방 위를 자유롭게 거니는데

                                         我在石渠署 나는 장서각인 석거의 관서에 파묻혀 있네.

                                       兩心相憶似流波 그래도 서로를 그리워하는 두 마음은 흐르는 물결 같아

                                       潺湲日夜無窮 주야로 잔잔히 끝없이 흐르네.

至清 지극히 맑고

지청

다함 없이 아름답네.

진미

從一勺 한 국자로부터

종일작

至千 천 리에 이르네.

지천리

利人利物 사람과 만물을 이롭게 하고

이인이물

時行時 때로는 흐르고 때로는 멈추네.

시행시지

道性淨皆然 도의 성품이 모두 물처럼 깨끗하고

도성정개연

交情淡如 교우의 정도 이 물처럼 담담하네.

교정담여차

君遊金谷堤上 그대는 금곡의 제방 위를 자유롭게 거니는데

군유금곡제상

我在石渠署 나는 장서각인 석거의 관서에 파묻혀 있네.

아재석거서리

兩心相憶似流波 그래도 서로를 그리워하는 두 마음은 흐르는 물결 같아

양심상억사류파

潺湲日夜無窮 잔잔히 주야로 끝없이 흐르네.

잔완일야무궁이

* 류우석(劉禹錫 772842): 당대(唐代) 저명한 시인·관료

* 金谷: 석숭(石崇, 249300)은 서진(西晉)의 문사로, 낙양 서북 금곡수가 흐르는 언덕에 금곡원(金谷園)을 세우고, 기암과 누대를 두르고, 대나무와 꽃나무를 심어 사시마다 바람과 달을 마주하였다. 벗들이 모이면 거문고와 시문이 서로 울리고, 술잔이 돌 때마다 즉석에서 시제를 내었는데, 그 자리에서 수를 잇지 못하면 벌주 세잔(罰酒三杯)을 들도록 하였다. 금곡주수(金谷酒數)의 고사는 후세에 이르러 문사가 모여 운문을 짓고, 재미로 벌주를 나누던 풍류의 상징이 되었다.

* 석거서(石渠署): 석거(石渠)는 석거각(石渠閣)으로, 장안(長安) 미앙궁(未央宮) 대전의 북쪽에 있는 장소로, 한나라 궁궐 안에 서적을 소장하던 곳이다. 한 초기 승상 소하(蕭何)가 건설할 것을 건의하였으며, 여러 귀중한 도서와 전적을 보관하였다. 궁전 아래에 돌로 수로를 만들어 물을 이끌었기 때문에 석거각이라 이름하였다. 한 선제(宣帝) 때에 유명 학자 유향(劉向)을 불러 석거각에서 곡량춘추(谷梁春秋)를 강의하게 하고, 오경(五經)을 논했다. 한 성제(成帝) 때에는 이곳에 궁중의 여러 비장(秘藏)된 전적을 소장하고, 박사 시수(施雠)와 명유(名儒)를 배치하여 석거각에서 오경의 서로 다른 설을 강학하고 토론하였다. 석거각은 사실상 황실 도서관이자 학술 논의의 장소였다. 이후 석거(石渠)라는 말은 비서성, 집현전 등의 장서 처를 가리키는 고사 표현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