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8. 〈대한신운〉 구성의 실제/강(姜), 거(居)운
7. 강(姜) 운: 강(江), 광(光), 낭(浪), 당(唐), 랑(郞), 량(良), 망(望), 방(邦), 상(桑), 쌍(雙), 앙(仰), 양(陽), 왕(王), 장(章), 창(昌), 탕(湯), 팡(芳), 항(航), 향(香), 황(黃)
‧ 春分 춘분 1
夜來春雨萬象新 밤새온 봄비에 만상 새롭고
야래춘우만상신
春分天氣染風光 춘분의 천기가 풍광을 물들이네.
춘분천기염풍광
茱萸梅花已顯果 산수유 매화는 이미 열매를 드러내고
수유매화이현과
連翹杜鵑又明崗 개나리 진달래가 다시 언덕을 밝히네.
연교두견우명강
黃鸝好音起舊情 꾀꼬리 좋은 소리 옛정을 일으키니
황리호음기구정
靑絲幻影漾長浪 푸른 실 환영이 긴 물결에 일렁이네.
청사환영양장랑
與君幾度步此岸 그대와 몇 번이나 이 언덕을 걸었던가!
여군기도보차안
煙景愈深愈哀傷 봄 경치 깊어질수록 애상을 더하네.
연경유심유애상
* 강(姜) 운은 활용 빈도가 매우 높고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다.
8. 거(居) 운: 거(擧), 게(界), 계(界), 녀(女), 개(開), 괘(掛), 쾌(快), 내(乃), 대(大), 몌(乜), 매(梅), 서(西), 세(世), 새(灑), 쇄(刷), 어(魚), 여(如), 예(禮), 왜(歪), 저(低), 제(帝), 재(才), 처(處), 체(體), 채(采), 터(土), 태(太), 폐(閉), 패(敗), 허(虛), 혜(惠), 훼(毁), 해(海)
‧ 春分 춘분 2
靑麥起身呼靑鳥 푸른 보리 몸 일으키며 파랑새를 부르고
청맥기신호청조
東風載雲向南海 동풍은 구름 실어 남해로 향하네.
동풍재운향남해
百花齊放誘黃蝶 온갖 꽃 일제히 피며 노랑나비를 유혹하고
백화제방유황접
千鳥同鳴尋碧溪 온갖 새 함께 울며 푸른 시내를 찾네.
천조동명심벽계
執鋤整壟樂韶光 호미 들고 이랑 정리하며 아름다운 봄빛을 즐기고
집서정롱락소광
臨池賞鯉對蒼靄 연못 임해 잉어 감상하며 푸른 아지랑이를 대하네.
임지상리대창애
佳節金樽豈可缺 좋은 시절 금 술잔 어찌 빠질 수 있으리오.
가절금준기가결
玉盤佳肴伴藍菜 옥쟁반 좋은 안주 푸른 채소를 동반하네.
옥반가효반람채
* 거(居) 운 역시 상용 압운으로 숫자도 많아서 다양한 표현을 할 수 있다.
'대한신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339. 〈대한신운〉 구성의 실제/걱(巪), 건(建) 운/ChatGPT와 대화로 짓다 (0) | 2025.11.23 |
|---|---|
| 337. 〈대한신운〉 구성의 실제 감(感), 갑(甲)운/ChatGPT와 대화로 짓다 (2) | 2025.11.21 |
| 336. 〈대한신운〉 구성의 실제/간(間), 갈(葛) 운 /ChatGPT와 대화로 짓다 (0) | 2025.11.20 |
| 335. 〈대한신운〉 구성의 실제 각(各)운/ChatGPT와 대화로 짓다 (0) | 2025.11.19 |
| 334. 立春 입춘 가(家)운/ChatGPT와 대화로 짓다 (2) | 2025.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