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4. 天長地久 천장지구 구(九)운: 구(謳), 두(頭), 류(流), 주(主)
하늘은 만물을 생장(生長)시키고 땅은 만물을 구존(久存) 시킨다
제1구 登樓顧萬象 누각에 올라 만상을 돌아보니
등루고만상
제2구 自起感歎謳 절로 이는 감탄의 노래
자기감탄구
제3구 月出天開眼 달이 뜨는 까닭은 하늘이 눈을 떴기 때문이요
월출천개안
제4구 山高地擧頭 산이 높은 까닭은 땅이 고개를 들었기 때문이라네.
산고지거두
제5구 蒼海醒龍漾 푸른 바다는 용을 깨워 일렁이고
창해성룡양
제6구 銀河載夢流 은하수는 꿈을 실어 흐르네.
은하재몽류
제7구 浩然卽元氣 호연이 바로 원기이려니!
호연즉원기
제8구 人間萬物主 인간은 만물의 주재자라네.
인간만물주
* 20. 구(九)운: 구, 규, 누(루), 뉴(류), 두, 무, 부, 수, 우, 유, 주, 추, 투, 후, 휴
* 추구(抽句): 학동(學童)의 한시 교육을 위해서 만든 기초 한문 교재이다. 중국의 명시(名詩)와 명현(明賢)들의 절구(絶句), 율시(律詩) 등에서 뛰어난 시구를 가려 뽑아 엮었다. 주로 오언(五言) 중에서 훌륭한 대장(對仗) 발췌하여 엮은 내용이 많다. 천자문(千字文), 사자소학(四字小學)과 함께 익힌다. 천자문(千字文)과 사자소학(四字小學)이 한자(漢字) 학습과 동시에 윤리도덕(倫理道德)의 함양(涵養)이 목적이라면 추구(推句)는 좋은 구절을 발췌하여 익힘으로써 학동들의 정서(情緖)를 풍부하게 하고, 사고력(思考力) 발달과 문장력(文章力) 향상에 그 목적을 두었다. 사자소학과 마찬가지로 저자는 미상이며, 필사본으로만 전한다. 추구는 굳이 고대의 시에서 뽑지 않더라도 좋은 구절이라고 생각되면, 스스로 뽑아 재구성할 수 있다. 대장(對仗)을 궁리해 보면, 어휘력 증진에 매우 효과가 있다.
⇓ ChatGPT와 대화를 통한 작시 과정
1. 나의 말: 月出天開眼과 山高地擧頭는 추구(抽句)입니다. 이어 5/6구의 대장(對仗)을 구성할 것입니다. 5/6구는 3/4구와 문법 구성이 달라야 합니다.(결국 원하는 답을 얻지 못하고 다음과 같이 구성함.)
제5구 蒼海醒龍漾 푸른 바다는 용을 깨워 일렁이고
창해성룡양
제6구 銀河載夢流 은하수는 꿈을 실어 흐르네.
은하재몽류
2. 3/4/5/6구의 대장(對仗)과 문법 구조를 분석해 주세요.
3구 月(주어)/出(상태동사)/天(주어)/開(동사)/眼(목적어)
4구 山(주어)/高(형용동사)/地(주어)/擧(동사)/頭(목적어)
5구 蒼海(주어)/醒(선행동사)/龍(목적어)/漾(후행동사)
6구 銀河(주어)/載(선행동사)/夢(목적어)/流(후행동사)
합장 여부 판단: 3‧4구와 5‧6구의 구성이 다르므로 합장 아님. * 합장의 의미는 어느정도 인식하지만, 정확한 문장구조의 분석은 아직 어려움. 蒼과 銀은 색깔의 대장(對仗) 임을 인식하지 못함.
3. 1/2구와 7/8구를 구성해 주세요. 원하는 답을 얻지 못하고 위와 같이 구성함. 2025년 5월 13일 현재까지는 ChatGPT를 훈련 시켜야 하는 상황. 훈련 시키는 과정에는 폭넓은 독서와 사고의 확장 필요성을 느낌. 많은 독서가 뒷받침되어야 다양한 질문으로 더 나은 표현을 이끌 수 있음. ChatGPT가 원하는 답을 제공하지는 못했지만, 대화 과정은 사고의 확장에 확실히 도움이 됨. 원하는 답을 제공하는 날이 한시의 창작에서 한시를 즐기는 날로 전환될 것이다.
'대한신운' 카테고리의 다른 글
76. 初夏雨後 초하우후 초여름 비 온 후/ChatGPT 대장(對仗)분석 능력 (0) | 2025.05.14 |
---|---|
75. 知者不言? 지혜로운 자는 말이 없는가?/ ChatGPT와의 대화를 통한 사유 (0) | 2025.05.13 |
73. 仰慕梁灌先生 앙모 양관 선생/백일장 대한신운 장원 작품 분석 (3) | 2025.05.12 |
72. 謎 수수께끼/ ChatGPT 한자 수업 (0) | 2025.05.11 |
71. 立春祝 입춘축/ChatGPT와 대화로 오언절구(五言絶句) 만들기 (0) | 2025.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