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0. 立春祝 입춘축 거(居)운: 해(海) 래(來)
笑花滿春堂 웃음꽃이 봄 집을 채우니
소화만춘당
瑞氣牽東海 상서로운 기운이 동해를 이끄네.
서기견동해
掃地黃金出 땅을 쓸면 황금이 나오고
소지황금출
開門萬福來 문을 열면 만복이 들어오네.
개문만복래
* 8. 거(居)운: 거, 게, 계, 녀(려, 례), 개, 괘, 쾌, 내(래), 대, 몌, 매, 서, 세, 새, 쇄, 어, 여, 예, 왜, 저, 제, 재, 처, 체, 채, 터, 태, 폐, 패, 허, 혜, 훼, 해
* 거(居) 운은 운자 수가 많아 다양한 표현을 할 수 있다.
* 오언절구(五言絶句)는 한 구절마다 다섯 글자로 이루어지고 총 네 구절로 구성한다. ‘오언(五言)’은 말 그대로 한 구에 다섯 글자가 있다는 뜻이고, ‘절구(絶句)’는 네 구절에서 시가 “끊어진다(絶)”는 의미로, 더 길게 이어지지 않고 네 줄로 완결한다는 뜻이다. 구조는 간결하지만, 그 안에 자연의 풍경, 순간의 감정, 철학적 깨달음 같은 깊은 정서를 압축한다.
* 소지황금출(掃地黃金出) 개문만복래(開門萬福來)처럼 주어진 구에 두 구를 더해 짓는 방법의 활용을 권한다. 원인과 결과로 이루어졌다. ChatGPT와 다양한 대화를 시도했으나 의도한 대로 만들지는 못했다. 특히 2구는 전혀 제시하지 못했다. 그러나 대화 과정에서 좋은 구를 떠올리는 데 참고가 된다. 대화 내용이 너무 길어 생략한다. 2구의 구성에 한 시간이 걸렸다. 한자의 문제가 아니라 국어능력의 문제이다.
* 돌아온 봄을 기뻐하는 입춘축은 입춘첩(立春帖), 입춘방(立春榜), 춘첩(春帖), 춘방(春榜) 등으로 불린다. 입춘은 24절기 중 첫째 절기로 보통 양력 2월 4일경에 해당한다. 음의 기운이 쇠퇴하고 양의 기운이 왕성해지는 시기로 한 해의 소망을 담아 문설주나 옛날의 대문에 붙이는 관습이 전해진다. 입춘대길(立春大吉) 건양다경(建陽多慶)이 널리 알려져 있으나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등에는 다양한 입춘축이 전해진다.
災從春雪消 재앙은 봄 눈 녹듯 사라지고
재종춘설소
福逐夏雲興 복은 여름 구름 일 듯 흥성하리!
복축하운흥
立春大吉 봄을 수립(竪立)하니 크게 길하고
입춘대길
建陽多慶 양기를 재건(再建)하니 많은 경사로다.
건양다경
壽如山 건강 장수는 태산처럼 굳고
富如海 부귀는 바닷물처럼 쌓이기를!
掃地黃金出 땅을 쓸 때마다 황금이 나오고
소지황금출
開門百福來 문을 열 때마다 온갖 복이 들어오길!
개문백복래
父母千年壽 부모님의 천년 장수를 빌고
부모천년수
子孫萬代榮 자손의 만 대 영화를 빕니다.
자손만대영
去千災 온갖 재앙은 물러가고
거천재
來百福 온갖 복만 찾아오기를!
내백복
門迎春夏秋冬福 문으로는 사계절의 복을 맞이하고
문영춘하추동복
戶納東西南北財 집안으로 동서남북 재물을 들인다.
호납동서남북재
⇓ ChatGPT 한자 수업
오늘은 입춘(立春) 입니다. 음력 24절기의 첫 번째 절기이자, 봄의 시작을 알리는 뜻깊은 날이에요. 한 해 농사의 기운을 점치고, 재앙은 멀리하고 복은 가깝게 당기려는 마음으로 입춘축(立春祝) 을 문에 붙이며 길운을 빕니다. 그 입춘축에 등장하는 주요 한자들을 아래처럼 정리해볼게요.
災 (재앙 재, zāi, 짜이) 재앙, 재난, 재해
용례: 水災(수재, 홍수), 火災(화재), 災害(재해), 天災地變(천재지변)
福 (복 복, fú, 푸) 복, 행운, 복된 일
용례: 祝福(축복), 福氣(복기), 福祉(복지), 有福無禍(유복무화)
立 (설 립, lì, 리) 서다, 세우다, 시작하다
용례: 自立(자립), 立春(입춘), 立志(입지), 獨立(독립)
建 (세울 건, jiàn, 지엔) 짓다, 세우다, 이루다
용례: 建設(건설), 建國(건국), 建議(건의), 建陽(건양: 양기를 세우다)
壽 (목숨 수, shòu, 쇼우) 수명, 장수
용례: 長壽(장수), 壽星(수성: 장수를 상징하는 별), 萬壽無疆(만수무강)
掃 (쓸 소, sǎo, 싸오) 쓸다, 제거하다, 청소하다
용례: 掃除(소제), 打掃(타소), 掃蕩(소탕), 掃地出門(소지출문: 쫓아내다)
門 (문 문, mén, 먼) 문, 입구
용례: 開門(개문), 門戶(문호), 出入門(출입문), 門迎(문영)
財 (재물 재, cái, 차이) 재물, 돈, 부(富)
용례: 財産(재산), 財閥(재벌), 財政(재정), 發財(발재: 재물 얻음)
'대한신운' 카테고리의 다른 글
73. 仰慕梁灌先生 앙모 양관 선생/백일장 대한신운 장원 작품 분석 (3) | 2025.05.12 |
---|---|
72. 謎 수수께끼/ ChatGPT 한자 수업 (0) | 2025.05.11 |
70. 哀悼蔡上兵殉職 애도 채상병 순직/ 대한신운 칠언배율 (0) | 2025.05.09 |
69. 暴雨 폭우/ 대한신운 칠언배율 (0) | 2025.05.09 |
68. 花林洞天 화림동천/ 한시백일장 대한신운(大韓新韻) 우리 율시 (4) | 2025.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