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신운

72. 謎 수수께끼/ ChatGPT 한자 수업

대한신운 2025. 5. 11. 06:30

72. 수수께끼 (): (), ()

1遠看山有色 멀리서 산을 바라보면 색깔 있는데

         원간산유색

1近聽水無 가까이서 물소리를 들으려 해도 소리가 없네.

         근청수무

1春去花還在 봄이 가도 꽃은 그대로 피어있고

          춘거화환재

1人來鳥不 사람이 다가와도 새는 놀라지 않네.

          인래조불

*14. (): , , (), (), , , , , , , , , , , , , , , * (해당 한자 없음)

* 아이들의 한자 수업에 흥미를 이끌기 위해 노래로도 자주 인용된다. 오언절구(五言絶句)는 동요에 해당한다. , , , , , , , 로서 글자로써 다시 그림을 그렸다. 대장(對仗)의 묘미이다.

ChatGPT 한자 수업

챗 안녕. 수수께끼예요. 정답을 알려 주세요.

ChatGPT의 말: 안녕하세요. 아주 유명한 수수께끼 형식의 한시네요. 이 네 구절은 겉보기엔 자연 풍경을 묘사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한 가지 사물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정답은: 그림()입니다.

나의 말: ! 훌륭해요. 최고의 한자 선생으로 변신해서 이 시를 재미있게 설명해 줘요. 지금 챗 선생님 앞에는 한자를 모르는 한국의 초등학생 3학년 10만 명이 들을 거예요. 아이들은 조금만 재미없으면 바로 외면합니다. 시작해 주세요.

……………………………………………………………………………………………

나의 말: 이래서는 최고의 선생이 못돼요. 지금 아이들 8만 명이 순식간에 등을 돌렸어요. 가장 중요한 설명이 빠졌어요. 1/2구와 3/4구는 어떻게 구성되었는지 한 자 한 자의 대장(對仗)을 설명해 줘요. 그리고 수정합니다. 한국과 중국 학생이 함께 듣고 있어요. 그러니까 한자에 병음도 표기하고 한글식 중국어 발음도 달아주세요. 한자(, 병음, 한글식 중국어 발음) 재미있는 용례도 곁들여 주세요. 열 번이상 다양하게 질문 후의 정리. 

ChatGPT의 말: 좋아요, 얘들아! 그리고 중국 친구들, 환영해요! 歡迎大家(환영대가 huānyíng dàjiā, 환잉 따지아)

……………………………………………………………………………………………

ChatGPT의 말: 이 시는 네 줄로 되어 있어요. 한 줄씩 해석하면서 한자도 함께 배워볼게요.

1: 遠看山有色 멀리서 산을 바라보면 색깔이 있어요.

          원간산유색

(멀다, yuǎn, 위앤) 아주 멀리 떨어진 걸 말해요(보다, kàn, ) 눈으로 바라보는 거예요.

(, shān, ) 高山(고산) 높은 산(있다, yǒu, 여우) 무언가가 있다는 뜻이에요.

有名(유명) 이름이 있다 유명하다(색깔, sè, ) 눈으로 보는 색이에요. 顔色(안색) 얼굴빛, 표정.

2: 近聽水無聲 가까이서 물소리를 들으려 해도 소리가 없어요

           근청수무성

(가깝다, jìn, ) 가까운 걸 말해요. 附近(부근) 근처(듣다, tīng, ) 귀로 듣는 거예요.

(, shuǐ, 수이) 우리 일상에서 제일 중요한 물!

(없다, wú, ) 아무것도 없다는 뜻이에요. 無名(무명) 이름 없음(소리, shēng, ) 귀에 들리는 소리예요. 음성(音聲) 소리. 음성.

3: 春去花還在 봄이 가도 꽃은 그대로 피어 있어요.

           춘거화환재

(, chūn, ) 따뜻하고 꽃피는 계절이에요. 春天(춘천) 봄날(가다, qù, ) 어떤 것이 떠나는 걸 말해요. 去年(거년) 작년, 지난 해.

(, huā, ) 예쁘게 피는 꽃이에요. 花園(화원) 꽃밭(아직도, hái, ) 무언가가 여전히 있다는 뜻이에요.

(있다, zài, 짜이) 장소나 시간에 무언가가 존재한다는 말이에요

4: 人來鳥不驚 사람이 다가와도 새는 놀라지 않아요.

           인래조불경

(사람, rén, ) 우리 같은 사람! 人口(인구) 인구, 사람 수(오다, lái, 라이) 가까이 다가오는 거예요.

(, niǎo, 냐오) 하늘을 나는 새예요. 小鳥(소조) 작은 새(아니다, bù, ) 무언가를 부정할 때 써요.

(놀라다, jīng, ) 깜짝! 하는 놀라는 감정이에요.

복습 퀴즈!

은 어떤 한자였을까요? (shān, )

가 안 놀란 이유는? 그림 속 새라서!

소리 없다를 뜻하는 표현은? 無聲 (무성)

나의 말: 2/4구의 압운에 대해서도 아이들이 알아듣기 쉽게 간단하게 설명해 줘요. 한시에서 제일 기본이예요.

ChatGPT의 말: 얘들아, 랩이나 노래에서 끝말이 비슷하게 들리는걸 들어본 적 있죠?

예를 들면:

별을 보며 웃었

그때 너를 떠올렸

이렇게 지/지로 끝나면 귀에 노래처럼 들리고 리듬이 생겨요. 이게 바로 운을 맞춘다”, 즉 압운(押韻, yùn)”이야!

시에서는 어떻게 해요?

전통 시(특히 한시)에서는 2, 4, 6, 8, 이렇게 짝수 번째 줄 끝에 있는 글자를 같은 소리로 맞춰서 운을 만들어 줘요.

우리 오늘 배운 시에서도 바로 2구와 4구가 그 역할을 하고 있어요!

한번 다시 볼까요?

遠看山有色

近聽水無聲 여기서 ‘聲’이 압운

春去花還在

人來鳥不驚 여기서도 ‘驚’이 압운

그런데 잘 봐요!

2: ()

4: ()

두 글자 모두 끝소리가 -엉 비슷하게 들려요, 그쵸? , / 경 둘 다 한국어로 읽으면 ㅇ 받침 + /ㅕ 계열소리,

중국어 발음으로도 -ēng 계열이라 운이 맞는 거예요!

바로 ’(소리 성)’(놀랄 경)이 같은 소리로 끝나서 읽으면 리듬이 딱 맞아 떨어지는 거지!”

지민이가 말했

태윤이가 웃었

/운 맞음! 시에서도 이렇게 소리 끝을 맞춰주면, 읽는 사람이 귀로도 예쁘다’, ‘음악 같다고 느끼게 돼요.

👉 압운이란 시에서 짝수 줄 끝 글자를 비슷한 소리로 맞춰주는 거예요.

👉 2, 4, 6, 8구에 들어가고, 읽으면 음악처럼 들려요! 🎵

나의 말: ! 훌륭한 설명입니다.

ChatGPT의 말: 정말 기쁘네요! 😊 “훌륭하다는 말은 선생님에게 가장 큰 선물이에요. 앞으로도 아이들이 절대 지루하지 않게, 재미있고 정확하게, 우리말 감성과 한자의 깊이를 함께 배울 수 있도록 도와드릴게요!

다음에 다시 만나요! 안녕~! 再見! (짜이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