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3. 입동(立冬) 원진(元稹)
霜降向人寒 상강 지나 사람 향해 추위 닥치더니
상강향인한 (shuāngjiàng xiàng rén hán)
輕冰淥水漫 입동의 살얼음이 맑은 물에 퍼지네
경빙록수만 (qīngbīng lù shuǐ màn)
蟾將纖影出 달이 뜨면 잎 떨어져 앙상한 그림자를 비출 것이고
섬장섬영출 (chán jiāng xiān yǐng chū)
雁帶幾行殘 기러기는 허리띠처럼 몇몇 행렬만 남으리!
안대기항잔 (yàn dài jǐ háng cán)
田種收藏了 전원의 곡식은 수확하여 저장을 마쳤고
전종수장료 (tián zhǒng shōu zàng liǎo)
衣裘製造看 제조한 겨울옷 입은 모습을 보네
의구제조간 (yī qiú zhì zào kān)
野雞投水日 꿩이 모이 찾듯 물에 뛰어들 수 있는 마지막 날
야계투수일 (yě jī tóu shuǐ rì)
化蜃不將難 살 올라 변화한 대합을 더 이상 캐기 어려우리!
화신불장난 (huà shèn bù jiāng nán)
* 24절기 모두 영입사기시입동십월절(詠廿四氣詩立冬十月節)처럼 詠廿四氣詩~節이 붙어 있지만 생략한다.
* 〈霜降〉에서 추위 닥침을 이미 표현했다. 황제가 겨울옷을 준비하라는 표현도 〈霜降〉에 나타난다. 衣裘製造看은 겨울옷을 준비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만들어진 겨울옷 입은 사람들을 볼 수 있다는 뜻이다. 蟾은 달의 별칭이다. 雁의 대장(對仗)으로 표현했으며, 月도 쓸 수 있지만, 동물에 동물의 대장은 묘미 있다.
* 野雞投水日, 化蜃不將難 표면적인 자의대로 꿩이 물속에 뛰어들어 대합으로 변했다고 고대인들이 믿었다는 번역대로라면 이 작품은 아무런 가치가 없다. 不將難은 장차 어렵지 않다가 아니라 지금이 아니라면 앞으로는 얼음이 두껍게 얼어 물에 들어가기 어렵다는 뜻이다. 7구의 뜻과 연계해서 번역해야 한다.
* 〈霜降〉에서 추위 닥침을 이미 표현했다. 황제가 겨울옷을 준비하라는 표현도 〈霜降〉에 나타난다. 衣裘製造看은 겨울옷을 준비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만들어진 겨울옷 입은 사람들을 볼 수 있다는 뜻이다. 蟾은 달의 별칭이다. 雁의 대장(對仗)으로 표현했으며, 月도 쓸 수 있지만, 동물에 동물의 대장은 묘미 있다.
* 野雞投水日, 化蜃不將難 표면적인 자의대로 꿩이 물속에 뛰어들어 대합으로 변했다고 고대인들이 믿었다는 번역대로라면 이 작품은 아무런 가치가 없다. 不將難은 장차 어렵지 않다가 아니라 지금이 아니라면 앞으로는 얼음이 두껍게 얼어 물에 들어가기 어렵다는 뜻이다. 7구의 뜻과 연계해서 이해해야 한다.
'대한신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324. 寓意詩 우의시 2/ChatGPT와 대화로 다듬다 (0) | 2025.11.09 |
|---|---|
| 324. 寓意詩 우의시 1/ChatGPT와 대화로 다듬다 (0) | 2025.11.08 |
| 322-10. 一七令‧가을 탑처럼 쌓는 시/ChatGPT와 대화로 다듬다 (2) | 2025.11.06 |
| 322-9. 一七令‧산 탑처럼 쌓는 시/ChatGPT와 대화로 다듬다 (2) | 2025.11.06 |
| 322-8. 一七令‧샘물/ChatGPT와 대화로 다듬다 (0) | 2025.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