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신운

345. 〈대한신운〉 구성의 실제/국(國), 군(軍)운/ChatGPT와 대화로 짓다

대한신운 2025. 11. 26. 05:58

345. 대한신운구성의 실제/(), ()

21. (): (), (), (), (), (), (), (), (), ()

處暑 처서

十里區間損千石 십 리 구간에 천 석을 덜어내니

십리구간손천석

處暑害雨難成 처서의 나쁜 비에는 성숙하기 어렵네.

처서해우난성

晴天多幸和白雲 맑은 날씨 다행히도 백운과 조화하고

청천다행화백운

喜鵲頻繁入翠 까치는 빈번히 푸른 대에 드네.

희작빈번입취

岸上千年松不變 언덕의 천년송 변함이 없고

안상천년송불변

路邊百日紅更 노변의 백일홍 더욱 빛나네.

로변백일홍갱

朝夕商風抗伏暑 조석의 가을바람 복더위에 맞서니

조석상풍항복서

時令轉移測九 시령의 전이에서 음양의 도를 헤아리네.

시령전이측구

* ()운은 압운할 운자도 적으며 활용하기에 매우 까다롭다. 홀수 구의 끝 자로 활용하면 좋을 것이다. 이 작품 또한 억지 구성이며, 대한신운의 실험에 불과하다.

* 주역(周易)에서 음양(陰陽)이 어우러져 만물이 생기는 도.

 

22. (): (), (), (), (), (), (), (), (), (), (), (), ()

白露 백로

此時甘雨增千石 이때의 단비는 천 석을 더하고

차시감우증천석

神工揮筆欲畵 신공은 붓 휘둘러 봄을 그리려 하네.

신공휘필욕화

廣野彩色用黃稻 광야의 채색은 누런 벼를 활용하고

광야채색용황도

晴天淸光添白 청천의 맑은 빛은 백운을 더했네.

청천청광첨백

草上結露串水晶 풀 위에 맺힌 이슬 수정을 꿰었고

초상결로관수정

枝間鳴蟬吟詩 가지 사이 우는 매미 시문을 읊네.

지간명선음시

秋田再耕盡播種 가을밭 다시 갈아 파종 마치니

추전재경진파종

夕露不覺步步 저녁 이슬 어느새 걸음걸음 적시네.

석로불각보보

* ()운의 운자는 많지 않으나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 작품은 용두사미(龍頭蛇尾) 격에 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