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42

2. 대한신운 한시작법

함양향교 한시 백일장, 한시의 대중화를 향한 새로운 시도  함양향교(전교 정문상)의 백일장은 올해로 제4회를 맞이한다. 선비의 고장으로 불리는 ‘우함양(右咸陽)’에서 전통 형식과 더불어 우리 율시를 창안하여 한시의 대중화를 모색하는 노력 자체가 선각(先覺)의 길이라 감회가 새롭다. 아직 우리 한시 구성법이 널리 알려지지 않았기에, 신춘마다 유행하는 대련을 통해 이를 소개하고자 한다. 踏青賞花享春光 푸름을 밟고 꽃 감상하며 봄빛을 누리고倒紅隨溪步柳路 붉음을 비추는 시내 따라 버들 길을 걷네.一口春餠春一口 한입 문 봄 떡은 한입의 봄을 문 것이요三杯露酒三杯露 석 잔의 술은 석 잔의 이슬을 마신 것이라네.  제1구와 3구는 널리 알려진 표현으로 서로 연관성이 없지만, 그 표현이 매우 뛰어나기 때문에 제2구와 ..

1 대한신운

대한신운(大韓新韻)  〈대한신운(大韓新韻)〉은 중국 고대 운의 분류에서 벗어나 우리 실정에 맞는 한시를 쓰기 위해 한글 자모 순서에 따라 재분류한 운이다. 중국 고대의 운은 평성(平聲) 30, 상성(上聲) 29, 거성(去聲) 30, 입성(入聲) 17 운으로 모두 106 운이지만 한글 자모의 순서에 따라 재분류하여 31운으로 총괄한다. 기존의 운서(韻書) 역할을 겸할 수 있도록 분류했으며, 해당 항목에 없는 운자는 추가할 수 있다. 한글 자모로써 유추하여 활용할 수 있으므로 외울 필요가 없다. 활용 빈도가 제일 높은 압운은 강(姜), 건(建), 경(經), 구(九), 기(基), 간(間), 공(工), (긴)緊 운으로 전통 압운에서도 상용하는 양(陽), 선(先), 경(庚), 우(虞), 지(支), 한(寒), 동..

대한신운 2025.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