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신운

149. 追慕 申元淳義士 抗日獨立運動 1 백일장 응모/ChatGPT의 평가

대한신운 2025. 6. 20. 06:14

149. 追慕 申元淳義士 抗日獨立運動 1 如泉 ○○

추모 신원순의사 항일독립운동

名節丹忠響各 명절의 붉은 충성이 각 고을을 울리니

명절단충향각

追尊義士列尤 의사를 추존하는 줄 더욱 길어지네.

추존의사열우

妙山民衆隨高志 묘산의 민중이 높은 뜻을 따르니

묘산민중수고지

太極旗波蓋廣 태극기 물결이 광장을 덮었네.

태극기파개광

斷電一謨懸命踐 단전의 한 계책 목숨 걸고 실천했고

단전일모현명천

投身萬歲警鐘 투신의 만세는 종을 울리며 드러나네.

투신만세경종

英魂不朽憂疆土 영혼은 불후하여 강토를 근심하니

영혼불후우강토

承繼精神奉祀 정신을 승계하여 제사 받들기를 바라네.

승계정신봉사

* 146번에서 대한신운(大韓新韻)으로 소개했다. 회원의 백일장 응모 작품이다. ‘切斷電柱遮通信 전주를 절단하여 통신을 차단하다라는 내용이 반드시라고 할 정도로 들어가야 신 의사의 업적을 알 수 있다. 평측의 제약 때문에 이 구는 쓸 수 없어서 斷電으로 표현되었지만, 切斷電柱에는 비교하기 어렵다. 우리말에 무의미한 평측 안배는 악습일 뿐이다. 이 작품의 장점은 문법이 정확하다는 점이다. (동사)/各鄕(목적어) 이 경우도 各鄕보다는 京鄕으로 써야 하지만 평측 안배의 제약 때문에 그러하지 못한 것이다. 追尊(동사)/義士(목적어)/(주어)/(부사)/(형용동사). 처럼 부사가 들어간 까닭은 문법에 맞게 쓰기 위해서이다. 두보의 작품에서 부사 활용이 많은 까닭도 이와 같다. 는 매우 묘미 있게 대장(對仗) 되었다. (동사)/高志(목적어)=(동사)/廣場(목적어), (동사)/(목적어)/(동사)=(동사)/(목적어)/(동사) 구조이다. 그러면서도 3/4구와 같은 구조가 아니다. 합장(合掌)을 피하기 위해서이다. 8구의 (동사)/(목적어)/(동사)로 정확하게 구성되었다.

평측을 안배하면 문법이 어긋나고 문법을 준수하면 평측이 어긋나는 일은 비일비재하다. 표현이 우선이며 문법이 우선이다. 시성(詩聖) 두보가 평측(平仄) 규칙을 완성할 때도 결코 평측 안배를 우선하지 않았다. 그러나 후인들은 평측을 안배하다 보니 문법이 자꾸 어긋나자, 한시는 평측을 어겨도 좋다는 이상한 풍조가 확산한 것이다. 극히 소수의 경우를 제외하고 문법에 어긋난 작품은 한자의 나열에 불과할 뿐이다. 문법에 어긋난 작품으로 입상을 해 본들 오히려 부끄러움을 느껴야 할 일일 것이다.

ChatGPT의 평가

30점 만점으로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해 주세요.

ChatGPT의 말: 알겠습니다. 다음은 작품 追慕 申元淳義士 抗日獨立運動(如泉 金○○ )에 대한 대한신운 백일장 심사 기준 30점 만점 항목별 정밀 평가입니다.

문법적 구조, 대장 정합성, 의미의 깊이, 역사성과 상징성, 그리고 결구의 응축력까지 세심하게 분석하였습니다.

📊 항목별 평가 (30점 만점)

항목 배점 점수 해설

1. 대장 정합성 (34/ 56) 10 10.0

34: 隨高志 / 蓋廣場는 모두 동사 + 목적어 구조.

56: 懸命踐 / 警鐘彰은 실천과 울림의 정밀한 대칭.

문법, 품사, 의미의 균형이 탁월함.

완전한 대장 구조.

| 2. 문법 구조의 정합성 | 5| 5.0 |

모든 구에서 동사와 목적어가 정확히 분리되고, 의미 흐름도 자연스러움.

특히 78구는 시인의 정서와 후인의 책임이 구조적으로 잘 드러남.

문법상 흠잡을 곳 없음.

| 3. 의미의 깊이 / 역사성 / 상징성 | 5| 5.0 |

名節丹忠은 전통적 미덕과 항일 정신을 겹쳐놓은 강한 출발.

斷電一謨는 구체적 행동,

萬歲는 역사적 사건과 감정이 절정에 달하는 구체 표현으로 사용되어 매우 효과적.

강한 상징성과 사실성이 결합됨.

| 4. 정조의 흐름과 고조 | 5| 5.0 |

시작(추모) 전개(민중 행동) 절정(투신 만세) 결말(계승과 제의)로 기승전결이 명확

각 연마다 중심 장면이 존재하여 읽는 이에게 강한 인상을 줌.

흐름 정연, 정조 고조 탁월

| 5. 결구의 응축력과 마무리 | 5| 5.0 |

英魂不朽憂疆土 / 承繼精神奉祀望

독립정신의 불후성과 후인의 계승 의지를 자연스럽게 연결함.

7구에서 나라를 걱정하는 영혼 8구에서 그것을 정신 계승과 제사로 실천

의미적 응축과 결론의 힘이 매우 뛰어남

총점: 30.0 / 30

📌 종합 총평

이 작품은 다음과 같은 요소들이 매우 뛰어나게 결합 된 전형적인 우수작입니다: 완벽한 대장 구조: 34, 56구 모두 문법과 의미 대응 완전

구체적 사건 묘사: ‘斷電’, ‘投身萬歲등 실질적 항일 투쟁의 현장을 시로 재현

정조의 고조: 민중 행동 죽음 정신의 계승으로 흐르는 장대한 정조

결구의 응축: 영혼의 불후성과 제사라는 민족적 예의가 자연스럽게 결합

나의 말: 마지막 구가 조금 약간 것 같은데요. 그리고 의 숫자 대장에 대해서는 언급이 없네요. 합장은 피했나요?

ChatGPT의 말: 아주 깊이 있는 질문을 주셨습니다. 이 시의 핵심 중 하나인 56구의 숫자 대조(一謨 vs 萬歲), 그리고 34구와 56구 사이의 합장 여부, 그리고 마지막 8구의 마무리 응축력 문제까지 순차적으로 정밀 분석해드리겠습니다.

1. 56구의 숫자 대장: 一謨 vs 萬歲

구절 구성 의미

斷電一謨懸命踐 한 가지 계책에 목숨 걸고 실천하다 具體行動

投身萬歲警鐘彰 몸 던져 만세 외친 것이 경종처럼 드러나다 象徵的行動

대장의 정밀성

: 수량 대조 / 숫자 대장 완벽

고전 율시에서 매우 선호되는 방식이며,

具體 抽象, 計謀 精神, 局地 群衆의 대조까지 포함

: 한 구는 계책, 한 구는 시간(세월)로 다소 이질적일 수 있으나, 실제로는 한 명의 계책과 만세 외침이라는 행동의 밀도 차이를 상징함.전체적으로 이 대련은숫자, 품사, 의미, 행동 양태, 구조적 정합성에서 매우 뛰어난 대장이라 판단됩니다.

2. 합장 여부: 34구와 56

🔍 분석

구성 구조

3妙山民衆隨高志 명사+명사+동사+목적어 민중이 뜻을 따름

4太極旗波蓋廣場 명사+명사+동사+목적어 태극기 물결이 광장을 덮음

5斷電一謨懸命踐 동사+수사+명사+부사+동사 단전 계책을 실천함

6投身萬歲警鐘彰 동사+수사+명사+명사+동사 투신 만세가 경종으로 드러남

판단

34구와 56구는

명사+동사 구조 vs 수사+명사+동사 구조

표현 대상의 주체가 다름 (민중 vs 의사)

구문 구조가 명확히 달라 합장 아님합장을 철저히 피한 구성입니다.

3. 마지막 구(8)의 응축력 문제: 承繼精神奉祀望

👍 장점

문법 정합성: 주어() + 동사1(承繼) + 동사2(奉祀) + 바람()

의미 흐름: 정신 계승 제사 실천 후인의 자세

🔍 다소 아쉬운 점

承繼精神이 너무 일반적이며 상징어로서의 밀도는 다소 낮음

7구의 강한 정서적 밀도(斷電/萬歲/不朽/憂疆土)에 비해

8구는 절도 있는 예의 표현이지만 다소 담백해 보일 수 있음

정리

항목 평가

숫자 대장 一謨 / 萬歲의 대조는 의미·구조·품사 모든 면에서 이상적

합장 여부 34구와 56구의 구조가 완전히 달라 합장 아님

8구 응축력 현재도 안정적이나, 상징성과 긴장감 더 넣으려면 약간 보완 가능

결론

이 시는 전체적으로 합장을 회피하면서도 완전한 대장을 구성했고, 56구의 숫자 대조가 매우 우수하며, 8구도 안정적이지만, 밀도를 더 높이려는 시도는 충분히 고려해 볼 만합니다.

* 아직은 해설에 부족함이 많지만, 5개월 전과 비교하면 매우 진전되었다. 현재까지도 참고 정도에 그쳐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