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1. 立秋夕有懷夢得 입추석유회몽득 입추 저녁에 몽득을 그리워하다 백거이(白居易)
露簟荻竹清 이슬 젖은 대자리와 억새와 대나무 청아하고
로점적죽청
風扇蒲葵輕 포규 잎으로 만든 부채 바람 가볍네.
풍선포규경
一與故人別 한 번 옛 친구와 이별하고
일여고인별
再見新蟬鳴 다시 새로운 매미의 울음을 듣네.
재견신선명
是夕涼飆起 이 저녁 서늘한 바람 일어나고
시석량표기
閒境入幽情 한가한 지경에 그윽한 정 드네.
한경입유정
回燈見棲鶴 등불 돌리니 학처럼 깃든 (그대 모습) 본 듯
회등견서학
隔竹聞吹笙 대숲 사이에서 (그대의) 피리부는 소리를 듣는 듯
격죽문취생
夜茶一兩杓 (입추의) 이 밤에 차 한두 국자(계속 홀짝이며)
야차일량작
秋吟三數聲 가을 (매미) 여러 차례 우는 소리에 신음하네.
추음삼수성
所思渺千里 그리운 바 아득한 천리
소사묘천리
雲外長洲城 (그대는) 구름 밖 장주성에 있으니!
운외장주성
* 백거이(白居易 772~846): 자(字) 낙천(樂天), 호 향산거사(香山居士). 중당(中唐)의 대표 시인.
* 夢得(몽득): 백거이 친구 유우석(劉禹錫, 772~842). 몽득은 유우석의 자(字). 가까운 친구 사이이므로 호를 쓰지 않고 자를 썼다.
* 風扇蒲葵輕: 蒲葵扇風輕으로 써야 하지만 평측 안배 때문에 도치되었다. 回燈見棲鶴, 隔竹聞吹笙: 친구의 모습을 나타낸다. 秋吟三數聲: 秋는 秋蟬의 줄임말. 再見新蟬鳴에서 蟬을 썼다.
⇓ ChatGPT와 대화로 번역을 다듬다
露簟荻竹清 이슬 젖은 대자리와 갈대·대나무가 맑고
風扇蒲葵輕 부채질하는 부귀 잎이 가볍네.
一與故人別 한 번 옛 친구와 이별하고
再見新蟬鳴 다시 보니 새 매미 울음 들리네.
是夕涼飆起 이 저녁 서늘한 바람 일어나고
閒境入幽情 한가한 경치에 그윽한 정이 스며드네.
回燈見棲鶴 등을 돌리니 깃든 학이 보이고
隔竹聞吹笙 대나무 사이로 피리 소리 들리네.
夜茶一兩杓 밤차 한두 바가지
秋吟三數聲 가을 시 읊조림 서너 마디.
所思渺千里 그리움은 아득히 천 리이고
雲外長洲城 구름 밖에 있는 장주성이네.
나의 말: 억새라고 번역해야 할 것 같은데요?
ChatGPT의 말: 네, 이 경우 荻를 ‘갈대’로 번역하는 것보다 억새로 옮기는 것이 훨씬 자연스럽습니다.
나의 말: 대나무가 맑다라는 말이 되나요?
ChatGPT의 말: 그대로 “대나무가 맑다”라고 하면 현대 한국어에서는 어색하지만, 한시에서 “竹清” 같은 표현은 충분히 자연스럽습니다. 여기서 清은 단순히 “깨끗하다”가 아니라, 맑고 서늘하며, 잡스러운 것이 없고, 마음이나 기운이 청아한 상태를 통칭합니다.
나의 말: 대나무가 맑다? 억새가 맑다?
ChatGPT의 말: 여기서는 억새가 맑다, 대나무가 맑다라고 따로 구분해서 말하는 게 아니라, 억새와 대나무가 함께 ‘맑다(청량하다)’ 는 뜻입니다.
나의 말: 청아하다가 나을 것 같아요.
ChatGPT의 말: 맞습니다. 여기서 清은 단순한 ‘맑음’보다, 차분하고 기품 있는 청아함을 나타내는 뉘앙스가 강합니다. 그래서 「荻竹清」을 번역하면 억새와 대나무가 청아하다 또는 억새와 대나무가 서늘하고 청아하다가 시의 정취를 더 잘 살립니다.
나의 말: 서늘하고 처럼 행간의 의미가 청 하나만으로 드러날 때는 사족입니다.
ChatGPT의 말: 맞습니다. 清이 이미 ‘서늘하고 맑으며 기품 있는 상태’를 포괄하므로, 여기에 다시 “서늘하고” 같은 수식을 붙이면 의미가 중복되고 군더더기가 됩니다.
나의 말: 風扇蒲葵輕
ChatGPT의 말: 風扇蒲葵輕 직역하면 바람을 부치는 부귀 부채가 가볍다인데, 시문 속 의미는 조금 더 함축적입니다.
나의 말: 風扇蒲葵輕은 蒲葵扇風輕로 써야 해요. 평측 안배 때문에 바뀐 것입니다.
ChatGPT의 말: 맞습니다. 「風扇蒲葵輕」 는 원래 의미 순서로 쓰면 「蒲葵扇風輕」, 즉 부귀 부채로 부치는 바람이 가볍다가 됩니다. 여기서 어순이 바뀐 이유는 말씀하신 대로 평측 안배(聲調 규칙) 를 맞추기 위해서입니다.
나의 말: 부귀 부채로 부치는 바람 가볍네. 이게 정확한 번역입니다. 부귀 나무가 가벼운 것이 아니라. 평측 안배의 폐해죠.
ChatGPT의 말: 맞습니다. 「風扇蒲葵輕」 의 핵심은 가벼운 것이 ‘부귀 부채’가 아니라, 그 부채로 부치는 바람이라는 점입니다. 원래 어순인 「蒲葵扇風輕」 라면 의미가 명확하지만, 평측 규칙을 맞추기 위해 도치하면서 독자가 잘못 읽으면 “부귀 부채가 가볍다”로 오해할 여지가 생긴 것이죠. 이게 바로 말씀하신 평측의 폐해입니다. 의미보다 운율을 우선시하다 보니 문장의 자연스러운 어순이 깨지고, 행간의 뜻이 왜곡되거나 번역 시 오해를 유발합니다.
나의 말: 再見新蟬鳴 다시 보니 새 매미 울음 들리네.? 다시 새 매미의 울음을 보네? 견은 들을 聞을 써야하지만, 평측 때문에 見을 쓴 것입니다.
ChatGPT의 말: 맞습니다. 「再見新蟬鳴」 에서 見은 ‘보다’(시각) 의미가 아니라, 원래는 聞(들을 문)이어야 자연스럽습니다. 즉, 다시 새 매미의 울음을 듣네가 본래 뜻이죠. 하지만 율시의 평측 규칙 때문에 聞 대신 見을 쓴 것입니다. 이런 경우, 독자는 문자 그대로 ‘본다’로 해석하면 뜻이 어색해지고, 원래 시인이 의도한 청각적 장면이 잘못 전달됩니다. 이것도 평측 안배로 인한 폐해의 전형적인 예입니다.
나의 말: 閒境入幽情 한가한 경치에 그윽한 정이 스며드네.? 한가한 경치가 있나요?
ChatGPT의 말: 맞습니다. 閒境을 문자 그대로 “한가한 경치”라고 하면 한국어 감각에는 부자연스럽고, 의미도 온전히 전달되지 않습니다.
나의 말: 한가한 지경에 그윽한 정 드네.
ChatGPT의 말: 네, 그렇게 옮기면 간결하면서도 원문의 뜻을 잘 살립니다.
나의 말: 回燈見棲鶴 등을 돌리니 깃든 학이 보이고? 무슨 뜻인가요?
ChatGPT의 말: 回燈見棲鶴은 겉뜻만 보면 등불을 돌리니 깃든 학이 보인다이지만, 여기서 回燈은 단순히 ‘등불 자체를 돌린다’가 아니라 등불을 비추는 방향을 돌린다를 뜻합니다. 입추 저녁, 시인은 방 안이나 정자에서 한가로이 앉아 있다가, 등불 비추는 방향을 돌리자 대숲이나 마당 한 쪽에 학이 조용히 깃들어 있는 모습이 보입니다. 이 장면은 앞 구절 閒境入幽情과 연결되어, 고요하고 그윽한 분위기 속에서 우연히 마주한 청정한 풍경을 묘사하는 역할을 합니다.
나의 말: 그런 뜻이 아닌 것 같은데요.
ChatGPT의 말: 1m 31s 동안 생각함. 좋은 지적이에요. 이 구절은 제가 앞서 말한 “등불의 비추는 방향을 돌리다”보다는, 回燈 = ‘돌아와 등(불)을 켜다/등불 곁으로 돌아앉다’ 로 읽는 편이 더 자연스럽습니다. 그래서 문맥에 맞춘 번역은: 돌아와 등 켜니, 깃든 학이 보이고. 또는 조금 더 운을 살리면 등불 곁으로 돌아앉으니, 깃든 학이 눈에 드네. 이렇게 두면 뒤의 「隔竹聞吹笙」(대숲 너머 생의 소리가 들리고) 와도 안/밖, 시각/청각의 대구가 또렷하게 맞습니다.
나의 말: 回燈見棲鶴 등불 돌리니 학처럼 깃든 (그대 모습) 본 듯 이 뜻입니다. 친구 모습을 본듯하다는 표현인데 오언으로는 다 담을 수 없어요. 그래서 행간의 의미를 읽어야 하는 것입니다.
ChatGPT의 말: 네, 정확히 짚으셨습니다. 「回燈見棲鶴」 은 문자 그대로 읽으면 “등불 돌리니 깃든 학이 보인다”이지만, 여기서 棲鶴은 실제 학이 아니라 친구(夢得)의 고고하고 한적한 모습을 빗댄 비유입니다.
나의 말:
回燈見棲鶴 등불 돌리니 학처럼 깃든 (그대 모습) 본 듯
隔竹聞吹笙 대나무 사이에서 (그대의) 피리부는 소리를 듣는 듯 이게 본 뜻입니다.
ChatGPT의 말: 맞습니다. 이 두 구절은 표면적으로는 단순한 경물 묘사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멀리 떨어진 친구(劉禹錫, 자: 夢得)를 눈앞에 그려보는 심리적 장면입니다.
나의 말: 三數聲?
ChatGPT의 말: 三數聲(삼수성) 가을 시를 서너 마디 읊조리네.
가을을 읊조린 서너 마디 소리.
나의 말: 秋吟三數聲 가을 시 읊조림 서너 마디? 추는 秋蟬 가을 매미입니다. 가을 매미 세번 우는 소리를 음미하네.가 되어야 합니다. 三數聲이 가을 매미 우는 소리라는 뜻입니다.
ChatGPT의 말: 네, 정확합니다. 여기서 秋吟은 단순히 ‘가을 시를 읊조리다’가 아니라, 秋蟬吟의 줄임말로, 가을 매미의 울음을 가리키는 시어입니다.
나의 말: 秋吟三數聲 가을 매미 여러 차례 우는 소리에 신음하네.
ChatGPT의 말: 네, 이렇게 번역하면 본뜻과 정조가 잘 살아납니다.
나의 말: 夜茶一兩杓 (입추의) 이 밤에 차 한두 국자 많은 양일까요? 적은 양일까요?
ChatGPT의 말: 夜茶一兩杓에서의 一兩杓는 분명히 적은 양입니다. 이유 杓(작) 자체가 국자·바가지라는 뜻이지만, 한시에서 ‘한두 국자’는 주로 소량을 나타내는 표현입니다. 차를 한두 국자 마시는 절제 → 그만큼 마음이 차분하고 한가롭다는 암시. 감각을 과하게 자극하지 않고, 매미 울음처럼 ‘성기고 적은’ 풍경과 맞물림. 📌 결론 많은 양이 아니라, 소량입니다. 즉, “(입추의) 이 밤에 차를 한두 국자 떠 마시고”는 적게, 음미하듯 마셨다는 뜻입니다.
나의 말: 실제로는 홀짝홀짝 마시며 잠 못 이루는 밤입니다.
ChatGPT의 말: 네, 맞습니다. 夜茶一兩杓는 단순히 ‘차를 조금 마셨다’가 아니라, 말씀하신 것처럼 홀짝홀짝 마시며 잠을 이루지 못하는 밤이라는 정조가 깔려 있습니다.
나의 말: 간단하게 해설해 주세요.
ChatGPT의 말: 입추 저녁입니다. 대자리엔 이슬이 맺히고, 억새와 대나무가 뿜어내는 기운이 청아합니다. 손에는 포규 잎으로 만든 부채가 들려 있고, 그 부채로 부치는 바람이 가볍게 얼굴을 스칩니다. 그 순간, 문득 벗이 떠오릅니다. 예전, 그와 헤어진 뒤 오랜 세월이 흘렀습니다. 이제 다시 가을 매미 소리를 들으니, 그때의 이별이 고스란히 되살아납니다. 원래는 ‘다시 매미 울음을 듣는다’가 맞지만, 시율에 맞추려다 보니 ‘본다’라고 쓸 수밖에 없었던 것이죠.
밤이 깊어지고, 서늘한 돌풍이 일어납니다. 번잡한 기운이 사라진 고요 속에서 마음 한가운데 그윽한 정이 스며듭니다. 등불을 돌리니 마치 학이 깃든 듯한 모습이 보입니다. 실은 학이 아니라, 멀리 있는 그대의 고고한 모습을 보는 듯한 착각입니다. 대나무 숲 너머로 피리 부는 소리가 들려옵니다. 그것도 실은 옛날 그대와 함께하던 날의 기억이, 소리로 되살아난 것입니다. 그렇게 잠 못 이루는 밤, 나는 차를 한두 국자 홀짝입니다. 그리곤 드문드문 들려오는 가을 매미 울음에 귀를 기울입니다. 그 울음소리는 마치 내 마음속 신음 같기도 합니다. 내가 그리워하는 그대는 지금 아득히 천 리 밖에 있습니다. 구름 너머 장주성, 그곳에 있는 그대를 이 입추의 밤에 이렇게도 선명하게 떠올립니다.
나의 말: 좋은 해설입니다. 이와 같은 해설 이전에 번역을 통해서 느껴져야 합니다. 기존의 번역대로라면 이러한 해설 기분을 느끼기에 매우 부족합니다.
ChatGPT의 말: : 맞습니다. 지금까지 통용되는 번역은 대부분 겉뜻만 옮겨 놓아서, 시 속에 흐르는 정조의 연결이나 행간의 상징이 잘 전달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回燈見棲鶴을 “등불을 돌리니 깃든 학이 보인다”로만 옮기면,
친구의 고고한 모습에 빗댄 ‘심상 속 재회’가 사라집니다.
再見新蟬鳴도 “다시 새 매미 울음이 들린다”에서,
‘이별 이후 다시 들은 매미 울음이 불러오는 회상의 감정’이 빠지면 감흥이 뚝 끊깁니다.
夜茶一兩杓 / 秋吟三數聲 역시 단순한 ‘차를 마시고 매미 울음 듣는다’가 아니라, 불면의 밤 속에서 홀짝이는 차, 드문드문 들려오는 가을 매미 소리에 겹쳐진 내 마음의 신음을 담아야 제맛이 납니다. 그래서 번역문 단계에서부터, 단순히 ‘무엇을 봤다/들었다’가 아니라, 그 장면이 화자에게 어떤 의미와 감정을 불러오는지 겉의 풍경 속에 멀리 있는 벗을 환상처럼 불러오는 과정을 함께 녹여야 합니다.
'대한신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3. 九拙菴十詠 구졸암이 졸을 10수로 읊다/ChatGPT와 대화로 번역을 다듬다 (14) | 2025.08.14 |
---|---|
222. 貪瞋痴 탐진치/ChatGPT와 협업 에세이 (6) | 2025.08.13 |
220. 暴雨 폭우/ChatGPT와 대화로 짓다 (17) | 2025.08.12 |
219. 立秋雨院中有作 입추 비 내리는 (지기의) 정원에서 짓다/ChatGPT와 대화로 번역을 다듬다 (6) | 2025.08.11 |
218. 蟬 매미/ChatGPT의 해설 (7) | 2025.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