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1. 酒中十咏·酒星 주중십영·주성 음주 중 10수를 노래하다‧술별 피일휴(皮日休)
誰遣酒旗耀 누가 빛나는 주기성을 파견하여
수견주기요
天文列其位 천문에 그 위치를 배열했는가!
천문렬기의
彩微嘗似酣 술 빛깔의 색채는 미묘하여 맛보기만 해도 취할 듯
채미상사감
芒弱偏如醉 까끄라기처럼 미약한 빛이 잔에 편중되니 취할 듯
망약편여취
唯憂犯帝座 (취기에) 오직 제왕의 자리를 침범할까 두렵고
유우범제좌
只恐騎天駟 (취흥에) 다만 하늘의 네 마리 말에 올라탈까 두렵네.
지공기천사
若遇卷舌星 만약 (간신을 가려내는) 권설성을 만난다면
약우권설성
讒君應墮地 군주를 참언하는 (소인은) 응당 땅에 추락하리라!
참군응타지
* 酒星은 중국 고대 성수(星宿) 문화 용어로, 처음에는 천계의 주기성(酒旗星)을 가리켰다. 旗가 붙은 까닭은 세 개의 별이 ‘一’자 모양으로 배열되어 깃발이 펄럭이는 듯한 형상으로 연회를 주관하는 성관(星官), 즉 별 관리의 깃발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주기성은 하나의 고유명사에 해당하므로 풀어 번역하지 않는다.
* 卷舌星: 중국 고대 천문 체계에서 열아홉 흉신(凶神) 가운데 하나. 말에 관련된 상징을 가지며, 참언(讒言)과 간신(奸佞)을 식별하는 점성 기능을 지닌다. 이 작품을 올바르게 풀이할 수 있는 핵심 단어이다. 술에 취한 광기를 조심해야 한다는 경구와 같다.
* 지나치게 함축된 표현이어서 자의의 표현만으로는 느낌이 잘 와닿지 않는다.
⇕
‧ 奉和襲美酒中十咏·酒星 습미의 주중 10영에 창화하다 육구몽(陸龜蒙)
萬古醇酎氣 만고에 순수한 주기성의 기운
만고순주기
結而成晶熒 응결되어 수정 같은 별빛을 이루었네.
결이성정형
降為嵇阮徒 강림하여 주당 혜강(嵇康)과 완적(阮籍)의 무리를 위하고
강위혜완도
動與尊罍並 이동하여 술잔과 술동이에 나란하네.
동여존뢰병
不獨祭天廟 하늘 사당 제사에만 쓰이는 것이 아니요
불독제천묘
亦應邀客星 또한 빈객별을 맞아들여 함께 마시리!
역응요객성
何當八月槎 어느 때 8월의 뗏목이 당도하여
하당팔월사
載我遊青冥 나를 실어 푸른 하늘을 유람하며 주기성과 마시게 할까!
재아유청명
⇕ ChatGPT의 해설
. 피일휴(皮日休) 〈酒星〉
1–2구에서 “누가 술별을 파견하여 천문에 두었는가”라는 의문으로 시작,
3–4구에서 술별의 색채와 광채를 술빛과 취기에 비유,
5–6구에서는 취흥이 지나쳐 “제왕의 자리, 하늘 말(天駟)”을 범할 위험을 경계,
7–8구에서 권설성(卷舌星)을 불러와, 결국 참언자가 땅에 떨어진다는 정치적 함의를 덧붙입니다.
특징:
‧ 술별의 묘사 → 정치적 경구로 급격히 전환됩니다.
‧ 권설성이라는 천문 용어가 키워드이지만, 맥락을 모르면 왜 갑자기 참언 이야기가 나오는지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 따라서 행간의 의미를 보충하지 않으면 독자는 “취흥 묘사”와 “정치적 경계”의 관계를 쉽게 파악하기 힘듭니다.
→ 지나친 함축과 상징 때문에 직역만으로는 뜻이 잘 와닿지 않는 작품입니다.
2. 육구몽(陸龜蒙) 〈酒星〉
1–2구에서 “만고의 순수한 주기성의 기운 → 수정 같은 별빛”이라는 술별의 광채 묘사,
3–4구에서 술별이 땅으로 내려와 술객 혜강·완적과 어울리며 술잔에 깃든다는 현실적 접속,
5–6구에서는 하늘 제사뿐 아니라 객성(손님별)까지 불러 함께 술자리 한다는 확장,
7–8구에서 팔월의 뗏목 고사를 끌어와, 자신도 술별과 더불어 하늘에서 술을 마시고 싶다는 낭만적 소망으로 마무리합니다.
‧ 전개가 “술별 묘사 → 인간 술자리 → 우주적 확대 → 은하 전설과 결구”라는 순차 구조를 갖습니다.
‧ 피일휴의 작품과 달리, 의미가 명확하게 흘러가므로 행간 보충이 크게 필요하지 않습니다.
‧ 술과 별을 직접적으로 잇는 시적 상상력이 드러납니다.
👉 결론적으로, 피일휴의 〈酒星〉은 행간 해설이 없으면 의미 파악이 어렵고, 육구몽의 〈酒星〉은 상대적으로 구조와 의미가 명확하여 독자가 곧바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대한신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3. 酒中十咏·酒篘 음주 중 10수를 노래하다‧술 거름망/ChatGPT와 대화로 번역을 다듬다 (2) | 2025.08.31 |
---|---|
242. 酒中十咏·酒鄉 음주 중 10수를 노래하다‧취중 고향/ChatGPT와 대화로 번역을 다듬다 (4) | 2025.08.30 |
240. 酒中十咏·酒樽 음주 중 10수를 노래하다‧술잔/ChatGPT와 대화로 번역을 다듬다 (8) | 2025.08.28 |
239. 酒中十咏·酒牀 음주 중 10수를 노래하다‧술상/ChatGPT와 대화로 번역을 다듬다 (5) | 2025.08.27 |
238. 酒中十咏·酒泉 음주 중 10수를 노래하다‧술샘/ChatGPT와 대화로 번역을 다듬다 (8) | 2025.0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