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44

224. 臘前月季 섣달 전까지 피는 월계화/ChatGPT의 해설

224. 臘前月季 납전월계 섣달 전까지 피는 월계화 양만리(楊萬里)只道花無十日紅 단지 열흘 붉은 꽃 없다고 말하지 말라!지도화무십일홍此花無日不春風 이 꽃에는 봄바람 불지 않는 날 없다네.차화무일불춘풍一尖已剝胭脂筆 뾰족한 한 봉오리는 이미 연지 붓을 벗기는 (모습)일첨이박연지필四破猶包翡翠茸 네 갈래 터진 꽃잎 여전히 녹용 같은 비취 꽃받침에 싸였네.사파유포비취용別有香超桃李外 복숭아 자두 이외를 초월하는 특별한 향기 있고별유향초도리외更同梅鬥雪霜中 눈과 서리 속에 다투니 더욱 매화와 같네.갱동매투설상중折來喜作新年看 꺾어 와서 새해에 볼 것을 기뻐하다 보니절래희작신년간忘卻今晨是季冬 오늘 아침이 늦겨울임을 망각했네.망각금진시계동* 양만리(楊萬里, 1127~1206): 남송(南宋)을 대표하는 시인으로, 자(字)는 ..

대한신운 2025.08.15

223. 九拙菴十詠 구졸암이 졸을 10수로 읊다/ChatGPT와 대화로 번역을 다듬다

223. 九拙菴十詠 구졸암십영 구졸암이 拙을 10수로 읊다 구졸암(九拙菴) 1. 性拙 성품의 졸함天賦難中革 하늘이 부여한 성품은 중간에 고치기 어려워천부난중혁疎慵不自由 소홀하고 나태하여 부자유스럽네.소용불자유入城如負罪 성안에 들어가면 죄지은 듯하고입성여부죄見客似包羞 손님을 만나면 부끄러움을 감싸안은 듯하네.견객사포수身老嫌乘轎 몸은 늙었어도 가마타기를 싫어하고신로혐승교冬寒愛弊裘 겨울이 추워도 해진 갖옷을 사랑하네.동한애폐구平生常置散 평생 늘 (자신을) 방치하고 산만하여평상상치산未肯向人求 결코 타인에게 구하려 하지 않았네.미긍향인구* 구졸암(九拙菴) 양희(梁喜 1515~1580): 자는 구이(懼易), 호는 구졸암(九拙菴). 중종 35년(1540년) 사마시에 1등으로 합격하고 명종 원년(1546)에 문과 급제..

대한신운 2025.08.14

222. 貪瞋痴 탐진치/ChatGPT와 협업 에세이

222. 貪瞋痴 탐진치 경(經)운貪慾列車無停車 탐욕 열차 무정차탐욕열차무정차拘束終點不知停 구속의 종점에도 멈출 줄을 모르네.구속종점부지정雜神蔽心看末路 잡신이 마음 가린 말로를 보나니잡신폐심간말로 惡魔蜜語案一坪 악마의 밀어는 한 평으로 안내했네.악마밀어안일평14. 경(經)운: 경, 갱, 녕(령), 냉(랭), 명, 맹, 병, 성, 생, 영, 앵, 정, 쟁, 청, 평, 팽, 탱, 형, 행 * 겅(해당 한자 없음)* 영부인의 구속을 보고 안타까운 마음에 쓰다. * 貪瞋痴: 불교에서 말하는 삼독(三毒). 貪: 탐욕, 집착. 瞋: 성냄, 미움. 痴: 어리석음, 무지→ 중생의 번뇌와 고통의 근본 원인.⇓ChatGPT와 협업 에세이사경(四更)의 전원에는 귀뚜라미 소리만 적막을 깨운다. 그 잔잔한 울음이 마치 마음속 깊..

대한신운 2025.08.13

221. 立秋夕有懷夢得 입추 저녁에 몽득을 그리워하다/ChatGPT와 대화로 번역을 다듬다

221. 立秋夕有懷夢得 입추석유회몽득 입추 저녁에 몽득을 그리워하다 백거이(白居易)露簟荻竹清 이슬 젖은 대자리와 억새와 대나무 청아하고로점적죽청風扇蒲葵輕 포규 잎으로 만든 부채 바람 가볍네.풍선포규경一與故人別 한 번 옛 친구와 이별하고일여고인별再見新蟬鳴 다시 새로운 매미의 울음을 듣네.재견신선명是夕涼飆起 이 저녁 서늘한 바람 일어나고시석량표기閒境入幽情 한가한 지경에 그윽한 정 드네.한경입유정回燈見棲鶴 등불 돌리니 학처럼 깃든 (그대 모습) 본 듯회등견서학隔竹聞吹笙 대숲 사이에서 (그대의) 피리부는 소리를 듣는 듯격죽문취생夜茶一兩杓 (입추의) 이 밤에 차 한두 국자(계속 홀짝이며)야차일량작秋吟三數聲 가을 (매미) 여러 차례 우는 소리에 신음하네.추음삼수성所思渺千里 그리운 바 아득한 천리소사묘천리雲外長洲城 ..

대한신운 2025.08.12

220. 暴雨 폭우/ChatGPT와 대화로 짓다

220. 暴雨 폭우 거(居)운八月暴雨連五日 8월 폭우 연 5일팔월폭우련오일夢中沙汰能難寐 꿈속의 사태에 잠들기가 어려웠네.몽중사타능난매近溪夜來瀑布聲 가까운 시내 밤새도록 폭포의 소리근계야래폭포성小塘晨對濁水勢 작은 연못 새벽에 대하니 흐린 물 기세소당신대탁수세無情蟋蟀不知倦 무정한 귀뚜라미 지칠 줄 모르고무정실솔부지권高樹蟪蛄猶閑居 높은 나무 매미는 오히려 한가히 거처하네.고수혜고유한거孤鳩飛來問安否 외로운 비둘기 날아와 안부를 물으니고구비래문안부無害鎭靜盈餵黍 무해에 진정하며 기장을 듬뿍 주네.무해진정영위서8. 거(居)운: 거, 게, 계, 녀(려, 례), 개, 괘, 쾌, 내(래), 대, 몌, 매, 서, 세, 새, 쇄, 어, 여, 예, 왜, 저, 제, 재, 처, 체, 채, 터, 태, 폐, 패, 허, 혜, 훼, 해⇓..

대한신운 2025.08.12

219. 立秋雨院中有作 입추 비 내리는 (지기의) 정원에서 짓다/ChatGPT와 대화로 번역을 다듬다

219. 立秋雨院中有作 입추 비 내리는 (지기의) 정원에서 짓다 杜甫山雲行絕塞 산 구름 (신세)는 단절된 변방의 요새로 가는 신세산운행절새大火復西流 큰 화를 입고 다시 서쪽으로 유랑하는 신세대화복서류飛雨動華屋 나는 비 형세가 화려한 (궁전) 지붕에 난동했으니비우동화옥蕭蕭梁棟秋 쓸쓸하고 쓸쓸한 들보와 마룻대 (신하의) 가을이여!소소량동추窮途愧知己 궁지의 길에서 지기에 부끄러우니궁도괴지기暮齒借前籌 저문 나이에 앞날을 (점치는) 산가지를 빌리네.모치차전주已費清晨謁 이미 맑은 아침 알현을 (헛되이) 소비했으니이비청신알那成長者謀 어찌 연장자의 지모를 이룰 수 있겠는가!나성장자모解衣開北戶 의대를 풀고 (물러나는) 북쪽 문을 열었으니해의개북호高枕對南樓 베개를 높이하고 남쪽 누각을 대할 수밖에고침대남루樹濕風涼進 (입추..

대한신운 2025.08.11

218. 蟬 매미/ChatGPT의 해설

218. 蟬 선 매미 강(姜)운流月寥寥搖梧桐 유월에 드문드문 오동을 흔들더니유월요요요오동立秋旺盛振八方 입추에 왕성히 팔방에 떨치네.입추왕성진팔방曉頃希音似飮露 새벽 무렵 드문 소리 이슬 마시는 듯효경희음사음로夕際長鳴若思陽 저녁 무렵 긴 울음 해를 그리워하는 듯석제장명약사양隨風無盡送多情 바람 따라 끝없이 다정을 보내고수풍무진송다정淋雨不休吐餘響 비 맞아도 쉼 없이 여운을 토하네.임우불휴토여향寂寞田園結金蘭 적막한 전원에서 금란지교 맺었는데적막전원결금란霜前短生空惆愴 서리 앞의 짧은 생애에 공연히 슬퍼지네.상전단생공추창7. 강(姜)운: 강, 광, 낭, 당, 랑, 량, 망, 방, 상, 쌍, 앙, 양, 왕, 장, 창, 탕, 팡, 항, 향, 황* 앞서 매미에 관한 전인의 작품을 번역하고 감상해 보았다. 어릴 적 오동나무..

대한신운 2025.08.11

217. 立秋 입추/ChatGPT의 해설

217. 立秋 입추 경(經)운白露更滲凉風至 흰 이슬 더욱 스미고 시원한 바람 이르며백로갱삼량풍지寒禪知命稱哀鳴 찬 매미는 명을 알아 슬피 운다고 말하네.한선지명칭애명先賢觀察難理解 선현의 관찰은 이해하기 어려워선현관찰난이해後人咬嚼始覺醒 후인은 되씹으며 비로소 깨닫네.후인교작시각성正午熱氣如前苦 정오의 열기는 여전히 괴롭지만정오열기여전고深夜涼風依舊淸 심야의 서늘한 바람 옛 그대로 맑네.심야량풍의구청異常徵候妨立秋 이상 징후가 입추를 방해해도이상징후방입추天理不變自平靜 천리는 변함없이 절로 평정된다네천리불변자평정* 14. 경(經): 경, 갱, 녕(령), 냉(랭), 명, 맹, 병, 성, 생, 영, 앵, 정, 쟁, 청, 평, 팽, 탱, 형, 행 * 겅(해당 한자 없음) * 新闻联播 20250807 19:00 내용에 근거..

대한신운 2025.08.11

216. 立秋 입추/ChatGPT의 해설

216. 咏廿四氣詩气·立秋七月節 24절기 시를 읊다‧입추 7월 절기 원진(元稹)不期朱夏盡 기약 없던 붉은 여름이 다하고불기주하진涼吹暗迎秋 서늘한 바람 불며 암암리에 가을을 맞네.양취암영추天漢成橋鵲 (하늘 한강) 은하수가 오작교를 이루니천한성교작星娥會玉樓 견우와 직녀가 옥 누각에서 만나네.성아회옥루寒聲喧耳外 찬 소리는 귓가에 요란하고한성훤이외白露滴林頭 흰 이슬은 숲 위에 떨어지네.백로적림두一葉驚心緒 한 잎 (떨어지며) 마음을 놀라게 하니일엽경심서如何得不愁 어찌 근심하지 않을 수 있으랴!여하득불수* 원진(元稹, 779~831): 중국 당(唐)나라 중기의 시인이자 정치가. * 입추삼후(立秋三候)1후(初候): 입추일부터 약 5일 — 凉风至 (서늘한 바람이 옴)2후(二候): 다음 5일 — 白露生 (이슬이 맺힘)3..

대한신운 2025.08.11

215. 新蟬 새로운 매미/ChatGPT와 대화로 번역을 다듬다

215. 新蟬 신선 새로운 매미 류겸(劉兼)齊女屏幃失舊容 병풍과 휘장 속 제 지방 여인은 옛 용모를 잃었으나제녀병미실구용侍中冠冕有芳蹤 시중의 갓과 면류관에는 향기로운 자취 남아있네.시중관면유방종翅翻晚鬢尋香露 날개는 만년의 귀밑머리를 뒤집으며 향기로운 이슬을 찾았고시번만빈심향로 聲引秋絲逐遠風 소리는 (가느다란) 가을 실처럼 이끌며 먼 바람을 따랐었지!성인추사축원풍旅館聽時髭欲白 여관에서 들을 때는 수염이 희어지려 했었고여관청시자욕백戍樓聞處葉多紅 수루에서 듣는 곳에는 단풍잎 많이도 붉었었지!수루문처엽다홍只知送恨添愁事 단지 (홀로) 근심 더하며 한 많은 세월 보낼 줄만 아니지지송한첨수사誰見凌霄羽蛻功 누가 날개 허물 벗어서 능소화 피운 공을 보아주리오.수견능소우태공* 떠나간 여인을 잊지 못하는 은유 표현이다. 新..

대한신운 2025.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