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28

278. 仲秋節 중추절 평수운‧중화신운‧대한신운 차이/ChatGPT의 해설

278. 仲秋節 중추절 임전송(林典宋) 중화신운(中華新韻)中秋又是喜團圓 중추절 다시 찾아와 단란함 기뻐하고중추우시희단원遊子欣歡玉鏡前 나그네도 옥거울 앞에서 기뻐하네.유자흔환옥경전遐想嫦娥舒廣袖 저 멀리 항아가 긴 소매 펴는 것 상상하고하상항아서광수靜思帝女意連綿 고요히 옥황상제 딸의 정이 면면히 이어지네.정사제녀의련면流光自愛輝長夜 흐르는 빛 절로 사랑스럽게 긴 밤을 밝히고류광자애휘장야瑞彩猶然耀九天 상서로운 빛 여전히 구천에 빛나네.서채유연요구천盛景良宵誰與共 성대한 경치 아름다운 밤 누가 함께하리!성경양소수여공邀來雅客酒詩仙 초대한 우아한 객은 주신과 시선이라네.요래아객주시선* 임전송(林典宋): 1963~. 인터넷 필명은 ‘대별산 시인’이다. 그는 허난성 신양 출신. 허난성 건이(建二) 회사 소속 시인. 《중국..

대한신운 2025.09.27

277. 靜夜思 고요한 밤의 사념/ChatGPT의 해설

277. 靜夜思 정야사 고요한 밤의 사념 이백(李白)床前明月光 침상 앞의 밝은 달상전명월광疑是地上霜 땅 위의 서리인가 의심했네.의시지상상舉頭望明月 고개 들어 밝은 달 바라보다거두망명월低頭思故鄉 고개 숙여 고향을 그리워하네.저두사고향* 이백(李白 701~762) 중국 당나라의 대표적 시인으로, 호는 태백(太白).‘시선(詩仙)’이라 불리며 호방하고 낭만적인 시풍으로 유명하다.⇓ChatGPT의 해설중추절(中秋節), 곧 한가위는 둥근 보름달을 바라보며 가족의 정을 나누는 날입니다. 멀리 떨어져 있어도 같은 달을 함께 본다는 데서 오는 위안과 그리움이 이 명절의 핵심 정조라 할 수 있습니다.이백(李白)의 〈정야사〉는 바로 그 달빛을 매개로 고향을 그리는 대표적인 오언절구입니다. 달빛은 단순한 자연의 풍경을 넘어,..

대한신운 2025.09.27

276. 白露醉興 백로 취흥/ChatGPT와 대화로 짓다

276. 白露醉興 백로 취흥 九운 牛谷 ○○○夜來細雨豈不疑 밤새 가랑비인가 어찌 의심 않으리오.야래세우기불의淸晨芳草白露濡 이른 아침 방초는 흰 이슬이 적셨네.청신방초백로유赤蜻悠悠流山岡 고추잠자리 유유히 산언덕에 흐르고적청유유류산강商風裊裊搖稻穗 가을바람 살랑살랑 벼 이삭을 흔드네.상풍뇨뇨요도수萬枝響音瀉新栗 만 가지는 소리 울리며 새 밤을 쏟고 수만지향음사신률百果染陽促忙手 백 과일 볕에 물들어 바쁜 손을 재촉하네.백과염양촉망수金野處處擊壤歌 금빛 들판 곳곳의 격양가금야처처격양가不醒醉興不因酒 인사불성 취흥은 술 때문이 아니라네.불성취흥불인주* 구(九) 운: 구, 규, 누(루), 뉴(류), 두, 무, 부, 수, 우, 유, 주, 추, 투, 후, 휴⇓ChatGPT의 해설 백로(白露)는 24절기의 아홉 번째 절기로,..

대한신운 2025.09.27

275. 處暑聞蟬聲 처서에 매미 소리를 듣고/ChatGPT와 대화로 짓다

275. 處暑聞蟬聲 처서문선성 처서에 매미 소리를 듣고 九운 牛谷 ○○○炎暑少退至處暑 더위가 한풀 꺾이는 처서염서소퇴지처서亭上蟬聲覺午睡 정자 위 매미 소리 낮잠을 깨우네.정상선성각오수忍耐七年垂翼冠 칠 년을 인내하여 익선관을 드리우고인내칠년수익관高鳴一月求配偶 한 달을 크게 울며 배우자를 구하네.고명일순구배우趨急合體必連嗣 합체를 서둘러 후사를 이어야 하니추급합체필연사優先産卵豈作寓 산란을 우선하니 어찌 집을 짓겠는가!우선산란기작우微物犧牲傳警覺 미물의 희생은 경각을 전하니미물희생전경각無子世態自深愁 무자식 세태에 절로 근심 더하네.무자세태자심수* 구(九) 운: 구, 규, 누(루), 뉴(류), 두, 무, 부, 수, 우, 유, 주, 추, 투, 후, 휴⇓ ChatGPT의 해설매미의 일생은 극단적인 시간의 불균형 위에 ..

대한신운 2025.09.27

274. 차운과 운의 차이‧ChatGPT의 번역 수준

274. 學士樓柱聯 학사루 주련(柱聯) 七月蟬聲滿一樓 칠월 매미 소리 누각에 가득하고칠월선성만일루登臨回顧叉傷秋 올라 회고하니 또다시 슬픈 가을등림회고차상추長林上下高城出 긴 숲 상하로 높은 숲 드러나고장림상하고성출大野東南二水流 큰 들 동남으로 두 물줄기 흐르네.대야동남이수류學士已乘黃鶴去 학사는 이미 황학을 타고 가 버렸으니학사이승황학거行人空見白雲留 행인은 공연히 흰 구름만 보며 머무네.행인공견백운류可憐風物今猶昔 가련한 풍물은 지금도 옛날처럼 변함없는데가련풍물금유석常有詩篇揭軒頭 그래도 늘 시편만은 처마 끝에 걸려 있구나! 상유시편게헌두* 학사루(學士樓): 경상남도 함양군 함양읍 운림리에 있는 누각. 통일신라시대에 지은 것으로 추정된다. 고운 최치원 선생이 함양 태수로 있을 때 이 누각에 자주 올랐다 하여 학..

대한신운 2025.09.26

273. 秋夜苦吟 가을 밤에 괴로이 읊다/ChatGPT와 대화로 짓다

273. 秋夜苦吟 추야고음 가을밤에 괴로이 읊다 강(姜) 운世事一場似春夢 세상일은 한바탕 봄 꿈과 같으니 세사일장사춘몽 人生幾次迎秋霜 인생은 몇 번이나 가을 서리를 겪는가! 인생기차영추상 梧葉已盡雁聲止 오동잎 이미 떨어졌고 기러기 소리 그쳤고 오엽이진안성지 鬢絲急變顔色愴 귀밑머리 급변하고 안색은 애처롭네. 빈사급변안색창 日斜送影歸山促 해 기울며 그림자 보내 산으로 돌아가길 재촉하고 일사송영귀산촉 月明入窓被雲妨 달빛 밝아 창에 들다가 구름이 방해하네. 월명입창피운방 短期君去纏餘恨 단기간에 그대 떠나 남은 한에 얽히니 단기군거전여한 長夜誰與共孤光 긴 밤 누가 함께 외로운 빛을 공유하리오! 장야수여공고광 * 7. 강(姜) 운: 강, 광, 낭, 당, 랑, 량, 망, 방, 상, 쌍, 앙, 양, 왕, 장, 창, 탕..

대한신운 2025.09.25

272. 秋分 추분/ChatGPT와 대화로 짓다

272. 秋分 추분 기(基)운 靑天白雲相宜融 청천 백운 알맞게 융화하고청천백운상의융晝夜長短均等時 주야의 장단 균등한 시기주야장단균등시玉露滲衣淸風柔 옥 이슬 옷을 적시고 청풍은 부드럽고옥로삼의청풍유金稻蓋野芳蓮美 황금벼 들을 덮고 향기로운 연꽃 아름답네.금도개야방련미籬邊黃菊欲開蕊 울타리 주변 황국은 꽃술 열려 하고리변황국욕개예丘上丹楓已落池 언덕 위 단풍은 이미 연못에 떨어졌네.구상단풍이낙지綠草紫蓼終不茂 푸른 풀 자색 여뀌 마침내 무성할 수 없고녹초자료종불무銀河素月顯玄機 은하와 흰 달이 현묘한 기운을 드러내네.은하소월현현기* 대한신운(大韓新韻) 기(基)운: 기, 괴, 귀, 니(리), 미, 비, 시, 씨, 이, 외, 의, 지, 치, 취, 피, 희, 회, 휘. 홀수 구의 끝 운자(韻字)는 기(基)운 이외에 모두 ..

대한신운 2025.09.24

271. 秋分 3수 〈중화신운〉과 〈대한신운〉과의 차이/ChatGPT와 대화

271. 秋分 3수 〈중화신운〉과 〈대한신운〉과의 차이 1. 황화량(黃華亮)落葉無心付水流 낙엽은 무심히 물에 맡겨 흘러가고락엽무심부수류南飛大燕已知秋 남쪽 나는 큰 제비는 이미 가을을 알리네.남비대연이지추天高雲淡清風爽 하늘 높고 구름은 옅고 청풍은 상쾌하고천고운담청풍상旭短星長美夢柔 햇살 짧고 별은 길게 늘어섰고 미몽은 부드럽네.욱단성장미몽유束束金菊妝野徑 다발 다발 국화꽃은 시골길을 단장하고속속금국장야경圓圓紫月蕩輕舟 둥글둥글 보랏빛 달은 가벼운 배를 흔드네.원원자월탕경주人生一世何為樂 인생 한 세상에 무엇이 즐거움이랴!인생일세하위락萬里山河任我遊 만 리 산하에 나를 맡겨 유람하리!만리산하임아유⇕落葉無心付水流 낙엽은 무심히 물에 맡겨 흘러가고luò yè wú xīn fù shuǐ liú南飛大燕已知秋 남쪽 나는 큰..

대한신운 2025.09.23

270. 詠廿四氣詩 24절기 추분을 읊다/ChatGPT와 대화로 번역을 다듬다

270. 詠廿四氣詩·秋分八月中 24절기 8월 중 추분을 읊다 원진(元稹)琴彈南呂調 거문고로 가을 곡 〈남려조〉를 타는데금탄남려조風色已高清 바람은 이미 높고 하늘색은 맑아졌네풍색이고청雲散飄飖影 구름은 나부끼는 그림자로 분산하고운산표요영雷收振怒聲 우레는 분노로 진동하는 소리를 거두네뢰수진노성乾坤能靜肅 하늘과 땅은 능히 숙정해지고건곤능정숙寒暑喜均平 더위와 추위는 기쁘게도 평균이네한서희균평忽見新來雁 홀연히 새로 날아온 기러기를 발견하니홀견신래안人心敢不驚 (쏜 살 세월에) 사람 마음 감히 놀랄 수조차 없네인심감불경* 원진(元稹 779~831): 당 중기의 시인으로 백거이와 함께 ‘원백(元白)’이라 불렸으며, 신악부 운동을 이끌었다.* 琴彈南呂調 風色已高清: 두 구 자체가 도치되었다. 거문고 탄다고 해서 바람 높아..

대한신운 2025.09.22

269. 대한신운(大韓新韻)을 활용한 창작 필요성

269. 운서(韻書)의 재편과 대한신운(大韓新韻)을 활용한 창작 필요성1. 〈평수운(平水韻)〉에 의한 창작: 秋分日 추분일 황상(黄裳)暑退秋澄氣轉涼 더위 물러가고 가을 맑아지며 기온 바뀌어 서늘해지고서퇴추징기전량日光夜色兩均長 햇빛 밤 색깔 둘 다 균등해졌네.일광야색양균장銀棉金稻千重秀 은빛 목화 금빛 벼는 천 겹으로 수려하고은면금도천중수丹桂小菊萬里香 붉은 계수 꽃과 작은 국화 만 리의 향기여!단계소국만리향 暑退秋澄氣轉涼 측측평평측측평日光夜色兩均長 측평측측측평평銀棉金稻千重秀 평평평측평평측丹桂小菊萬里香 평측평측측측평 2. 〈중화신운(中華新韻)〉으로의 재편:‧ 秋分 추분 좌하수(左河水)暑退秋澄氣轉涼 더위 물러가고 가을 맑아지며 기온 바뀌어 서늘해지고서퇴추징기전량日光夜色兩均長 햇빛 밤 색깔 둘 다 균등해졌네.일광..

대한신운 2025.09.21